o 지원대상 : 스토리 창작을 위한 인프라(스토리 창작센터, 강의장 등)를 보유한,
지방자치단체에서 출연한 지역 문화산업 지원기관
※ 지방자치단체 출연기관
「지방자치단체 출자·출연기관 운영에 관한 법률」 제 5조에 따라 2016년 1월 행정자치부에서 지정·고시한
출연기관 중 정관 또는 등기상에 문화콘텐츠 및 문화산업 진흥업무를 포함하는 기관
o 지원규모 : 11개 이내 지역 각 1억원 내외 지원
※ 세부 지원금액은 평가위원회에서 조정될 수 있음
o 협약기간 : 협약체결일로부터 11개월
o 사업내용
- 지역 스토리랩별 우수 스토리 발굴 및 이야기 창작 활성화를 위한 세부 프로그램을 자율적으로 편성․운영
- 해당 지역의 특장점을 살린 운영 프로그램 편성
[프로그램 운영 예시]
프로그램 운영 예시
구분 |
세부 프로그램 |
비고 |
스토리 발굴 프로그램 |
o 소재 발굴 워크숍 운영
o 인사이트 강연
o 우수 스토리 발굴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
지역 스토리랩 활성화 및 우수 스토리
발굴을 위한 세부 운영 프로그램은
자율 편성 |
스토리 완성화 지원 프로그램 |
o 스토리 완성화 지원을 위한 멘토링 지원,
피칭교육/피칭 지원, 창작공간 지원 등 |
창작공간 운영 프로그램 |
o 창작 공간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 운영 |
○
스토리 발굴 프로그램 운영
- 지역의 스토리 소재 발굴 워크숍 운영
지역 기반으로 활동 중인 작가들을 대상으로 지역전문가, 박물관 등과 연계하여 향토 역사와 문화 등을 중심으로
발굴될 수 있는 소재를 탐색, 답사를 통해 스토리로 발전시킬 원천 소스 개발을 지원하는 워크숍 운영
- 인사이트 강연 개최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작가를 대상으로 분야별·장르별 인사이트 강연 개최
- 스토리 발굴 지원
스토리 공모전, 스토리텔링 아카데미 등의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이야기 발굴을 위한 지속적이고 견고한 채널 마련
○ 스토리 완성화 지원 프로그램 운영
- 스토리 완성화 지원
공모와 평가를 통해 완성화 지원대상작 선정, 작품이 완성되기까지의 전(全) 단계 지원 프로그램 운영
(창작 공간, 집필지원금 지원, 멘토링, 컨설팅 등)
○ 창작 공간 운영 지원
- 스토리창작센터 등 창작을 위한 인프라 운영 지원
- 스토리 창작 인프라를 활용한 스토리 활성화 프로그램(ex. 스토리클럽 운영, 스토리텔러 양성 교육 운영,
간담회·전시·쇼케이스 등 개최) 등 운영 지원. 이를 통해 이야기 창작 거점으로 기능 공고화
※ 상기 프로그램은 예시이며 지역별로 창작기반 확대/스토리 완성화 지원/기발굴된 스토리의 콘텐츠 사업화 지원 등
추진 목표 수립 후 그에 맞는 프로그램을 자체 편성·운영하여야 함
o 지원조건
- 평가위원회에서 사업비 조정 가능
- 총 사업비의 20% 이상 현금 자부담 필수(내부인건비 자부담 편성 가능)
- 지원비는 2차에 나누어 지급하며 협약체결 후 80%, 중간평가 결과에 따라 20% 지급
- 모든 과제는 협약 기간 내 완료하고, 종료 후 1개월 이내 결과보고와 정산을 완료해야 함
[사업설명회 개최 안내]
• 일시 : 2016. 3.25(금), 14:30
• 장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57 콘텐츠코리아랩 2층 중회의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