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1 중국 문화산업 총결산」
● 작성 취지 - 중국의 각종 주간, 월간지는 2011년 연말 중국 콘텐츠산업에 대한 최근 동향과 2012년 전망을 분석하는 특집을 게제하고 있음 - 중국의 신문, 주간, 월간지 등이 정리한 2011년 동향과 과제, 2012년 중국 콘텐츠 산업 전망을 정리하여 국내 콘텐츠기업의
중국 진출전략 및 사업수립에 참고하고자 함 ※ 출처: 중국신문출판보, 중국문화보, 중국영화보, 중국문화산업망, MEDIA, 신화보, 북경상보, 중국광파망 등
● 작성 순서
1. 「2011 중국 문화산업 주요이슈」 2. 「각 분야별 이슈(방송/뉴미디어, 영화, 공연, 게임, 동만)」 3. 「문화산업 규제정책」
1. 2011 중국 문화산업 주요 이슈
□ 중국 문화산업 개황
- 중국의 문화산업은 2004년 이후 연평균 20%이상의 성장률을 보임. 문화산업을 국가 지주성 산업으로 성장시키겠다는 중국
정부의 의지에 따라 2009년 9월 <문화산업진흥규획(文化产业振兴规划)>, 2010년 4월 <문화산업진흥과 발전 및 번영을 위한
금융지지에 관한 지도의견>이 반포되었고 2011년 중국 공산당 제17회 중앙위원회 6차 전체회의에서 <중공중앙 문화체제
개혁 심화 및 사회주의 문화 대발전 대번영 촉진에 관한 몇 가지 중대 문제 결정(中共中央关于深化文化体制改革、推动社会
主义文化大发展大繁荣若干重大问题的决定)> 이 통과됨
- 중국은 문화사업 및 문화산업을 국가적 전략사업으로 지정하고 전 국민의 문화적 소양제고, 국가 문화 소프트파워 증대 및
중화문화의 국제 영향력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음. 또한 중국 특유의 사회주의 문화발전 방식을 유지하고 과학, 기술, 창조력
을 기반으로 현대화, 세계화, 미래화를 지향하여 2020년까지 문화개혁발전의 완성을 목표로 하고 있음
- 2011년 중국 문화상품 수출액 187억 달러, 전년대비 22.2%성장. 2011년 중국 도시인구의 문화오락상품 소비 및 서비스 이용
을 위한 지출이 2조 위안 초과
ㅇ 영화산업: 2011년 제작된 영화 총 791편, 전국 영화 흥행수입 131.15억위안. 2010년 대비 28.93%의 성장률을 보임. 그 중
국산영화의 흥행수입은 70.31억 위안으로 전체 흥행 수입의 53.61% 차지
ㅇ 동만산업: 2011년 동만 산업 규모 100억 위안, 파생상품 시장규모 약 500억 위안(한화 약9조2500억) 2010년 중국 애니메이
션 생산량 총 385부(220,530분)을 기록. 시장규모 208억 위안. 세계 제1의 동만 생산국으로 등극. 이후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
고 있으며 기존의 위탁 제작에서 중국산 창작 애니메이션의 제작으로 전환하려고 노력 중. 브랜드 파워강화, 판권수출 및
파생상품 제작 등 다방면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ㅇ 게임산업: 2011년 한 해 중국의 게임산업은 빠른 성장속도를 유지. PC게임, PC네트워크 게임, 모바일 게임 등을 포함한 총
게임 판매수익 446.1억 위안. 2010년 대비 34%성장. 34개의 중국 기업이 자체 개발한 131개 PC온라인 게임이 해외시장에
진출. 3.6억 달러의 매출액 달성. 인터넷과 통신 산업의 결합으로 모바일 게임(이동 네트워크 게임)의 시장 점유율이 확대되
고 있는 추세임
ㅇ 방송/ 뉴미디어 산업: 인터넷과 모바일 기술의 발전으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장소 어디서든 세계 각국의 방송 콘텐츠 시청
이 가능해지면서 전통방식의 방송산업 성장률은 둔화되고 있는 반면 온라인 동영상 시청자는 빠른 속도로 확장되고 있음.
2011년 중국 온라인 동영상 시청자 규모는 3.25억 명, 사용률 63.4%에 달함
ㅇ 디지털콘텐츠산업: 디지털 미디어산업의 발전에 따라 즉 3G, 위성, 고화질 등 디지털 기술의 상용화가 진행됨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 산업이 활기를 띄고 있음. 디지털 영상, 디지털 게임, 이동 매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콘텐츠 제작에 많은 이목이 집중
되고 있음. 특히 인터넷과 통신 산업의 결합은 디지털 콘텐츠 산업에 큰 활력을 불어넣어주고 있음. 중국의 네티즌 규모는
5.13억 명, 인터넷 보급률은 2010년 대비 4%성장한 38.3%. 휴대폰을 이용한 인터넷 이용자는 2011년 12월 말 기준 3.56억
명에 달하며 전체 네티즌의 69.3%를 차지하고 있음
ㅇ 출판: 2011년 중국의 전통 신문출판업의 총생산규모는 2010년 1조 3천억 위안을 넘어서 1조 5천 억 위안에 달함. 도서품종
및 인쇄수량, 인장, 단향본의 발행 총액 등 평균 10%의 성장률을 보임. 출판업의 디지털화로 인한 전통 출판업의 우려를
잠식하는 결과를 낳음
○ 주요 이슈 요약
- 2011년 중국 문화상품 수출액 187억 달러, 전년대비 22.2%성장 - 심천문화산업박람회 교역액 신기록 달성 1245.49억 위안(한화 약23조) - 중국문화산업 투자펀드 설립. 펀드규모 200억 위안(한화 약 3조) - 펑황미디어(凤凰传媒) 모집자금 44.79억 위안, 최대 규모의 문화미디어 상장기업 - 2011년 중국 게임산업 시장규모 1,158억 위안. PC게임, PC네트워크 게임, 모바일 게임 등을 포함한 총 게임 판매수익 446.1억
위안. 2010년 대비 34%성장 - 2011년 중국 동만산업 산업규모 100억 위안, 파생상품시장 500억 위안 (한화 약9조) - 2011년 영화 박스오피스 131.5억 위안, 매일 8개의 스크린 증설 - <맘마미아!> 중국어 버전 북경, 상해, 광주에서 성황리에 공연을 마침. 공연횟수 141회, 티켓수익 5,500만 위안, 16.5만
관객 동원
□ 중국문화산업투자펀드 (中国文化产业投资基金) 설립
- 중국 문화산업진흥 5대 사업의 일환으로 2011년 7월 6일 중앙재정은 북경에서 200억 위안(한화 약 3조 3,400억) 상당의 문화
산업투자펀드를 설립함 - 중국문화산업투자펀드는 재정부(财政部), 중은국제공고유한공사(中银国际控股有限公司), 중국국제TV총공사(中国国际电视
总公司), 심천국제문화산업박람회유한공사(深圳国际文化产业博览交易会有限公司)가 공동으로 발기하고 설립한 최초의 국
가급 문화산업펀드임 - 펀드규모: 200억 위안 (재정부 출자액: 5억 위안)
· 앞으로 펀드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자금 모집
· VC/PE 범위 내민간자본의 유입도 허용할 예정
· 폐쇄형 투자로 운용기간을 10년으로 계획하고 있음 (1~5년: 투자기, 6~10년: 퇴출기)
- 운용방식: 주권투자방식으로 신문, 출판, 발행, 라디오, 영화, 방송, 문화예술, 온라인문화, 문화여가 등 관련업종에 투자함 - 투자대상: 국유문화기업, 중외합자/합작기업, 외상독자기업, 유한책임공사 등 모든 소유제(所有制) 문화기업 - 국가급 펀드조성을 통해 사회 자금이 문화산업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도, 문화산업이 중국의 국제경제 지주성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함
※ 자세한 내용은 첨부(PDF)화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