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2 북미 영화계 주요 작품 분석」
● 작성취지 - 제 85회 아카데미 시상식 수상작을 예상해 보고, 지난 2012년 한 해 동안 북미 영화계의 상업적인 성공과 문화적 가치 평가를
정리해 보고자함
● 작성순서
- 들어가기
- 흥행 수입 기록 갱신의 2012년
- 제 85회 아카데미 시상식 주요 작품
- 작품성과 상업성의 만남
1. 들어가기
□ 2012년 북미 영화계 평가
○ 영화산업 소비자 시장 측정의 지표, ‘관객수’와 ‘입장수입’
- 첨단 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문화 콘텐츠 시장은 국경 혹은 물리적 거리의 제약을 받지 않음 - 영화, 텔레비전, 게임 그리고 음악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와 크고 작은 규모의 문화 콘텐츠 소비와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는
전 세계 유통시장에서 강한 영향을 행사하고 있는 국가는 미국임 - 영화시장의 소비자 규모 측정 시 이용되는 일반적인 두가지의 지표로는 관객수와 입장수입이 있는데 이 둘의 상관성은 다양한
가격대로 형성되어 있는 입장수입 (예를 들어서 30~40% 이상 높은 프리미엄을 지불해야 하는 3D영화 혹은 조조 할인류의
낮은 단가)의 분포도에 큰 연관성이 있음 - 다년간의 자료 분석 시에는 일관적인 수치 비교 방식이 필요하므로 관례적으로 북미 영화시장규모는 관객 동원 수치보다는
주로 입장수입으로 판단하고 있음
○ 2012년 북미 영화산업 소비자 시장 주요 흐름
- 영화 전문잡지 Variety와 Hollywood Reporter에 따르면 지난 2012년 캐나다와 미국을 포함한 북미지역에서 약 670여 개의
개봉작들이 선을 보였고 이 영화들은 열두 달 동안 약 $108억(한화 11조원)에 달하는 티켓 판매량을 기록하며1조 3천억 명의
관객 동원력을 이루어냈음
- 11조원의 티켓 판매량은 2011년 대비 6% 이상 증가한 수치이며, 20여년 이후 처음으로 증가된 관객수를 보임 - 관객수를 통해 영화산업의 소비자 시장 규모를 쉽게 측정할 수 있는데, 2012년의 전년 대비 성장은, 지난 10여 년 내 최저
관객수를 기록한 2011년으로 인해 생겼던 걱정과 우려를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는 긍정적인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음

- 650개의 영화 중 $1억 이상의 입장수입을 기록한 성공작은 30개의 작품으로 전체 입장 수익 중 과반수를 훨씬 뛰어넘은 57%
에 달하는 61억 달러를 기록함
- 이 상위 30위 안에 포함된 영화는 극소수를 제외하고는 모두 메이저 6개 스튜디오(Warner Bros., Universal, Disney, Fox,
Paramount, Sony)에서 배급과 제작을 맡고 있어 영화계 시장의 판도는 이들이 이끌어 간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음 - 이외에 최근 합병한 Summit과 Lionsgate을 비롯해 The Weinstein Co.과 DreamWorks 등의 “미니 메이저” 회사들의 영화
상품도 상위권에 종종 포함되고 있음
2. 흥행수익 기록 갱신의 2012년
○ 2012년 흥행작품
- 2012년은 연말 통산 합계 기록뿐만 아니라 입장수입에서 막강한 위력을 발휘한 영화들의 활약이 두드러진 한해였음 - 최소 $4억 이상에서 최고 $6억 2천만의 흥행수익을 기록한 Disney의 “The Avengers”, Warner Bros.의 “The Dark Night
Rises”과 Liongsgate의 “The Hunger Game”의 액션 영화작품이 이루어낸 성과임 - 이 영화들은 2012년의 최고 흥행작이자 1920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기록된 역대 최고 흥행수입 상위 15위 안에 포함되는
고무적인 기록을 남김 - 한해에 이렇게 다수의 영화가 역대 기록 상위권에 동시에 진입한 경우는 전무함


- 북미 상업영화 트랜드 및 뉴스를 제공하는 전문 웹사이트인 Hollywood.com의 분석에 따르면, 입장객수와 입장수입을 기준
으로 볼 때 성과를 올린 2012년의 성공 뒤에는 작품 완성도와 흥행성을 갖춘 영화들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이 직접 이끈 제 3의
영향이 있었음 - 일반적으로 제작/배급사 측의 계획을 통해 진행되는 마케팅과 광고는 전략적으로 짜여진 개봉일자에 따라 적절한 시기에
맞추어 시행됨 - 근래에는 그와 별도로 소비자들이 스스로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를 통해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공감대를 형성하며, 팬들이
모여 표현의 수단으로 이용함 - 이와 같이 소비자가 주체가 되어 소비자를 위해 지속적인 관심을 표출하고 공유하며, 최종적으로는 영화 관람을 통해 영화
수익에 기여하게 되는, 과거에는 볼 수 없었던 변화의 영향력이 커졌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 자세한 내용은 첨부(PDF)화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