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3 영국 디지털 음악 산업 현황』
● 작성취지
- 본 연구는 BPI (The British Recorded Music Industry)에서 발간한 Digital Music Nation 2013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음.
- 유럽에서 가장 큰 음악 시장인 영국의 디지털 음악 시장의 동향 및 특징을 살펴봄으로서 유럽 디지털 음악 시장의 흐름을 파악
하고, 현재 디지털 음악과 관련되어 진행하고 성과를 보인 케이스들을 살펴봄으로써 한국 디지털 음악 업계에서도 활용 및
계발 시킬 수 있는 전략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함.
※ 유지연(워릭대학교 문화정책 박사과정)
● 작성순서
1. 「2013 영국 디지털 음악 구조 변화」
2. 「2013 영국 디지털 음악 소비 변화」 3. 「영국 디지털 음악 산업 미래 발전 전망」
1.『 2013년 영국 디지털 음악 구조 변화 』
□ 영국 디지털 음악 시장 변화 개요
▶ 지난 십년간 음악 환경 생태계 변화
- 지난 십년간을 뒤돌아볼 때, iPod가 등장한 이후로 음악 시장 혁신의 속도는 놀랄만하게 변해옴. - 지난 10년간 iTunes, 아마존 MP3, 7digital, YouTube, Spotify, Deezer, Rdio, Vevo, Xbox Music, Google Play등과 같은
서비스가 등장. 그밖에 페이스북, 트위터, 스마트폰, 태블릿, 브로드밴드 인터넷 확산, 3G와 이제는 4G 모바일 기술까지 등장함. - 음악 산업은 이와 같은 변화를 함께 겪어왔고, 디지털 영역의 놀라운 성장 동력으로서의 역할을 해옴. 이것은 경제적 수입뿐만
아니라 시장 서비스에도 다양성을 가져다줌.
- 영국에는 현재 70개 이상의 합법 음악 서비스가 있음.
▶ 디지털 음악 > 피지컬 음악 - 이전의 미국, 스웨덴, 한국의 경우와 같이, 영국은 2012년 초부터 디지털 음악 수입이 피지컬 음악 수입을 앞지르는 중요한
전환점을 맞고 있음. 가격과 접근성에서 더 이점을 제공해주는 태블릿과 스마트 모바일 기기의 확산이 소비자들이 처음으로
디지털 음악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더 많이 가져다주고 있으며, 음악 비즈니스와 디지털 음악 서비스는 이러한 소비자들의
수요와 니즈를 맞추기 위해 점점 증가하고 있음.
▶ 변화의 중심에 있는 소비자 - 디자인, 용이성, 스피드에 중점을 둔 서비스 제공이 활성화되면서, 단순히 음악 다운로드를 테스트해보던 수준의 소비자들을
디지털 앨범 다운로드나 유료 서브 스크립션 소비자로 끌어오는데 성공하고 있음. - 2013년 음악 소비자들은 2003년의 소비자와는 완전히 다름. 따라서 레이블, 아티스트, 서비스, 기술 회사 등 음악 산업 생태계에
존재하는 모든 구성원들에게 이러한 플랫폼들이 그들 소비자들의 높아지는 기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신뢰를 쌓아야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음.
▶ 소셜 미디어의 역할 변화
- 소셜 미디어도 2012년도에 레이디 가가와 같은 유명한 뮤지션들의 예를 통해 증명되듯이 그 중요성이 점점 증가함. - 유명 뮤지션들은 그들만의 소셜 네트워크를 별도로 운영하기도 하고, Blur와 같은 뮤지션들은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신곡을
발표하기도 함. - 이러한 소셜 네트워크는 뮤지션과 팬과의 관계를 이전과는 완전히 바꾸어놓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알려지지 않은 음악의 발견과
추천 등과 같은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도 있음. (예: 페이스북의 Open Graph) - 영국의 음반 레이블들은 이러한 소셜 미디어와 연계된 마케팅을 잘 이용하고 있음. 특히, 영어는 세계 공용어이기 때문에,
레이블들은 디지털과 소셜 미디어 마케팅을 연계하여 글로벌 팬들과 관계를 형성하는데 전문가가 됨. - 이것은 One Direction, Mumford & Sons, Muse의 전 세계적인 성공 케이스를 통해 증명됨. 또한 이제는 음악을 전보다 훨씬
더 효과적으로 전 세계에 마케팅 하는 것이 가능해짐.
▶ 불법 음악은 여전히 과제 - 이러한 기술적 혁신과 함께 스트리밍 서비스인 Vevo, we7, Spotify, Deezer, Rdio와 같은 서비스와 불법 사이트 폐쇄와 같은
조치들이 보다 많은 사용자들을 불법 사이트에서 합법 사이트로의 이동을 정착시키고는 있으나, 온라인 불법 침해가 여전히
중요한 도전 과제로 남음.
▶ 스트리밍 차트 등장 - 2012년에 도입된, Official Streaming Chart는 단기간에 얼마나 시장이 변화해왔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임. 첫 번째 다운로드
차트가 생긴지 8년이 지났고, 이제는 다운로드가 싱글차트의 100%를 차지하고 있음. 이러한 변화는 놀라운 속도로 현재도
진행되고 있음. - 시장 성장과 디지털 혁신은 다이내믹하게 서로 연동되어 있으며, 이것은 향후 십년동안 발생할 기술 혁신을 생각해볼 때
그 변화는 앞으로도 동일하게 일어날 것으로 보임.
□ 2012년도 영국 디지털 음악 시장 5가지 주요 변화
▶ 디지털 음악의 전환점
- 2012년 1/4분기는 디지털 음악 역사상 처음으로 레코드 레이블 수입의 50% 이상을 다운로드와 스트리밍이 차지한 기간으로 기록됨.
▶ 영국 최초로 공식 스트리밍 차트 런칭 - 스트리밍 음악의 성장과 인기는 2012년 5월 영국 최초로 공식 스트리밍 차트(Official Streaming Chart) 런칭으로 증명됨.
이것은 광고지원 서비스와 서브 스크립션 서비스의 데이터를 합산한 차트임.
▶ 클라우드 서비스 본격 시작 - 구글, 아마존, 애플, 이 세 개의 가장 큰 디지털 업체가 클라우드 서비스를 영국에서 시작. 소비자들에게 구매, 스트림, 업로드,
스캔&매치 서비스를 어디서든지 사용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스트리밍 시장 경쟁 가열 - 영국 기반의 스트리밍 서비스 Rdio가 영국에서 시작. Deezer가 라이브 음악 비디오 스트리밍 시장에 진출했고 EE도 4G
서비스와 함께 온라인 음악 서브스크립션을 번들로 제공. - Spotify 서비스는 더욱 강화된 추천 서비스와 플레이리스트를 제공하며, 좋아하는 아티스트가 새 음악을 발매하면 알려주는
기능도 추가. 냅스터 서비스 또한 Rhapsody가 인수하여 재런칭 하였고 영국 시장에서 성장이 기대 중.
▶ 디지털 라디오 제조업자들의 서브스크립션으로 전환
- 디지털 라디오 Pure는 그들만의 서브스크립션 서비스를 영국에서 런칭, 사용자들은 콘텐츠와 태그된 트랙 스트리밍이 가능해짐.
□ 소셜 미디어의 원동력으로서의 음악
▶ 주요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플랫폼과 소셜 미디어 서비스는 얼마나 음악이 글로벌하게 소비자에게 어필하고 있는지를 보여줌.
페이스북에서 탑 10개의 가장 좋아하는 페이지 중 3개가 리한나, 에미넴, 샤키라 뮤지션의 페이지임. 음악은 또한 트위터
에서도 인기를 이끌고 있는데, 가장 팔로어가 많은 탑 4가 뮤지션으로 이들은 레이디 가가, 저스틴 비버, 케이티 페리, 리한나임.
▶ 자국뿐만 아니라 해외에서의 아티스트 인기와 소셜 미디어의 파워 - One Direction에게 있어 소셜 미디어를 통한 프로모션은 전 세계에 그들의 팬베이스를 구축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
그들의 미국 데뷔 앨범 Up All Night를 미국, 호주, 이태리와 많은 다른 국가 차트에 1등을 차지하게 하는 역할을 담당. - 그 중 혁신적인 디지털 마케팅 캠페인은 가상 캐릭터인 1Dcyberpunk를 활용하여 유럽과 미국 전역에 걸쳐 입소문 효과를
일으키게 한, 잃어버린 랩탑을 중심으로 벌어지는 이야기 “트랜스미디어 어드벤쳐”를 들 수 있음. - One Direction은 이 마케팅 캠페인의 중심에 있으며, 이 챌린지 시리즈를 완성한 팬들에게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새 트랙이
스트리밍 될 때 온라인 앨범 감상 파티참가와 같은 혜택을 줌. 이 밴드는 1주일에 3-4시간을 이 챌린지에 참여한 팬들에게
감사함을 표시하기 위해 비디오를 만드는데 보내면서 팬들과 직접 소통함. - 50일 동안 이 캠페인은 One Direction의 웹사이트에 트래픽을 2배 이상 올리는데 성공 했으며 20개의 각 챌린지를 완성한
사람이 200,000명에 달함. 12개의 트위터 트렌드와 250만 명의 유튜브 뷰잉을 가능하게 했고, 1DCyberpunk만의 소셜 미디어
팔로어를 양산해낼 정도로 엄청난 입소문 효과를 일으킴.
▶ 아티스트 마케팅 성황의 변화 - 이러한 소셜 미디어는 전체적으로 음악 마케팅 성향을 바꾸어놓음. 아티스트가 그들의 잠재적 팬들을 전 세계 어디에 있든지
실시간으로 만날 수 있다는 이점이 놀랄만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으며, 그것은 기존의 미디어는 결코 그것을 대신해 줄 수
없는 기능임. - 2012년에 Ed Sheeran이나 Birdy와 같인 신인 가수를 보면, 소셜 미디어는 그들의 세계적인 어필을 하는데 가장 중요한 기반이
됨. 뿐만 아니라 잘 알려진 Muse 같은 뮤지션들의 경우에도 소셜 미디어는 팬들과 직접 소통하는 가장 크고 중요한 요소가
되었고, 팬들 또한 이제는 그것을 기대하고 있음.
▶ 유튜브에 음악 어필 - 음악은 유튜브에서 가장 많은 플레이와 비디오를 차지함. 매달 2,200만 유튜브 사용자가 있음. 2012년 11월, 싸이의 강남스타일
이 역사상 가장 많이 본 비디오로 기록되었고, 가장 많이 본 탑 5도 역시 뮤직 비디오임.
※ 자세한 내용은 첨부(PDF)화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