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 검안협회 연구결과 , 3D 영상과 눈 건강간의 직접적인 상관관계 없어
2011. 9. 26
Overview
|
최근 들어 3D 업계 일각에서는 3D 입체영상 시청이 눈의 피로도를 가중시키며, 특히 어린 아이들의 경우
시력 저하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美검안협회(AOA)는 3D 영상 시청
과 눈 건강 사이에는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없으며, 오히려 안과 질환 검사 및 예방 도구로 3D 기술을 활용
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
Briefing
3D, 눈에 미치는 악영향 없으며 오히려 안과질환예방수단으로 활용 가능
o 3D 업계 일각에서는 3D 입체영상 시청이 눈 건강을 악화시키며, 특히 어린이들의 경우 정상 시력 형성에 영향을 끼칠 수 있
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음
- 테크니컬러(Technicolor)의 3D 전문가 피트 루티에(Pete Routhier)는 3D 영상 시청이 눈의 피로와 두통, 매스꺼움 등을 야
기할 수 있다고 지적했으며, 일본 닌텐도 (Nintendo)社는 6세 미만 아동의 장시간 3D 게임 플레이를 자제하도록 권고하기도
했음 - 이에 대해 국제 3D 산업 발전을 위한 기술 및 콘텐츠 전문가들의 모임 I3DS의 짐 채빈(Jim Chabin) 회장은 “3D 영상에 대해
과학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가설들이 3D 시장성장을 저해할 수도 있다”는 우려를 표명하기도 함
o 미국 검안협회(AOA; American Optimetric Association)는 3D 입체영상 시청과 눈 건강사이에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며,
오히려 안과 질환 검사 및 예방 도구로 3D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는 내용의 보고서1)를 발표함
- 美검안협회가 미국 가전협회(CEA) 및 3D@Home2) 컨소시엄과 공동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 3D 영상 시청이 이용자의 눈에
미치는 악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남
o 검안협회 소속 마이클 두에나스(Michael Duenas) 박사는 더 나아가 약시의 조기 진단과 눈의 집중 현상 및 시표추적검사 등
기존 시력 검사로는 측정하기 어려웠던 안과 질환 진단 및 예방 도구로 3D 입체영상을 활용할 수 있다고 주장함
o 한편 업계 전문가들은 검안협회의 , 美발표에 대해 이번 연구를 공동으로 진행한 3D@Home 컨소시엄에 인텔, 삼성전자,
소니 등 주요 가전업체들이 참여하고 있다는 점을 이유로 보고서의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함
Analysis
|
3D 입체영상은 좌우의 영상이 분리돼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를 주는 방식으로, 안과 전문
가들은 이론적으로는 눈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성장기 어린
이들의 경우에도 3세 이하에 기본 시력이 형성돼 직접적인 시력 저하를 유발하지는 않는다고 보고 있
다. 그러나 눈 건강 문제 외에도 피로감, 두통, 불안감 등 3D 영상 시청으로 인한 휴먼 팩터(human
factor) 문제는 일반 소비자들 사이에서 끊임없이 논란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한국, 미국, 일본
은 공동으로 3D TV 입체 영상 시청에 관한 안전 가이드라인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3국은 향
후 TV 시청거리 및 시청 방향에 관한 기준 설정은 물론 휴먼팩터를 유발하는 요인에 대해 디스플레이,
콘텐츠, 사용자, 외부 시청환경별로 맞춤화된 안전 기준을 제시해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
Source
1. Variety, 'Biz says 3D safe for Kids', 2011. 9. 19 http://www.variety.com/article/VR1118043028?refcatid=3764&printerfriendly=true
※ 아래에 원본 PDF 파일 첨부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