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달의 이슈 : 스토리텔링 저작 도구 연구 동향과 사례 분석       1. 들어가며: 스토리텔링 저작 도구란? 가. 스토리텔링 저작 도구의 정의와 특징
 ■ 스토리텔링 저작 도구는 이야기 만들기에 사용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가리킴
 - 컴퓨터와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현대의 이야기 창작자들은 스토리 데이터베이스와 워드프로세서, 시나리오 창작 툴 등
        다양한 컴퓨터 기술을 스토리 저작에 활용하고 있음- 스토리텔링 저작 도구는 작가의 이야기 포맷을 단일화 하는 ‘표준화’ 기능을 수행하며, 이야기 창작 과정을 ‘자동화’하거나
        창작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보조 도구’ 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함- 스토리텔링 저작 도구는 영화, 드라마, 게임, 소설 등과 같이 장르의 구분을 넘어 다양한 이야기를 만드는 데 활용되지만,
        현재 상용화된 대부분의 스토리텔링 저작도구는 영화, 드라마 등의 극본 창작에 특화된 것이 현실임 ■ 스토리텔링 저작 도구의 개발에는 서사학이나 문예 창작론과 같은 문학 이론 이외에도 인지과학, 컴퓨터 공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의 연구가 필요함- 따라서 스토리텔링 저작 도구 개발은 여러 가지 학문의 융합이 요구되는 학제적인 특성을 갖게 됨
 - 스토리텔링 저작 도구 소프트웨어 개발에는 프로그래머 외에도 시나리오 작가, 서사학 이론가와 같은 비 소프트웨어 전문
        가의 역할이 중요함   나. 스토리텔링 저작 도구의 기술적 요소
 ■ 스토리텔링 저작 도구는 어떤 하나의 컴퓨터 프로그래밍 테크닉에 의해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서사학, 창작 이론과의 결합을
      통해 종합적으로 행해지는 연구에 의해 구현됨- 스토리텔링 저작 도구 개발에서는 이야기의 구조를 분석하는 틀이 되는 이론 구축이 가장 중요함
 - 스토리텔링 저작 도구의 개발이나 구현에 활용되는 기술은 일반적인 워드프로세서나 소프트웨어를 제작할 때 필요한 프로
        그래밍이 대부분으로, 고도의 컴퓨터 공학적 지식이나 기술이 요구되지는 않음     - 현재 개발된 스토리텔링 저작 도구 중에서 가장 진보된 형태라고 언급되는 드라마티카 프로의 경우에도 이를 구현하는         서사학적 이론의 정교함이 높게 평가되며, 소프트웨어 제작에 활용된 기술은 일반적이고 기본적인 프로그래밍 수준에 그침 ■ 스토리텔링 저작 도구는 작가가 이야기를 창작할 때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이야기 요소들을 조직화하는 등, 작가의
      창작 지원 도구로서 활용됨- 이야기를 만드는 주체는 작가로, 스토리텔링 저작 도구는 작가의 스토리 창작 작업을 도와주는 어시스턴트 역할을 하는 것에
        그침- 따라서 스토리텔링 저작 도구 개발에서 중요한 것은 작가의 작업 과정을 정의하는 서사론적, 창작론적 관점에서의 이론적
        토대임 ■ 해외에서 간단한 이야기 요소들을 컴퓨터의 인공지능, 알고리즘 등을 사용해 가공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이야기를 생성해내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기는 하지만, 창작 작업에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수준에 이르지 못하고 있음- 컴퓨터를 이용한 스토리 생성(Story Generation)은 컴퓨터가 스스로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자동화된
        이야기 생성 기술이나,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된 성과물들은 매우 기초적인 수준에서의 이야기 생성만이 가능하다는 한계        점이 있음- 이러한 연구에서 결과물들의 이야기적 완성도는 매우 낮기 때문에 상용화 가능성이 떨어지고, 주로 대학의 컴퓨터 공학 관련
        학과에서 실험적으로만 연구되고 있음- 다만, 이 기술은 게임과 같은 인터랙티브 매체에서 응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파사드(Facade)’라는 이름의
        대화형 어드벤처 게임에서 실제로 즐길 수 있는 수준으로 구현되어 많은 관심을 받은 적이 있음- 이야기 창작은 매우 고도의 인지적 과정과 종합적인 인간의 사고를 요구하기 때문에, 향후 컴퓨터 AI 기술이 획기적으로
        발전하지 않는 이상, 전문 창작자가 만들어내는 수준의 스토리 생성은 힘들 것으로 점쳐짐   
       ■ 이외에도 보다 넓은 범주에서 텍스트로 된 스토리를 영상으로 변환시켜주는 시각화 (Visualization) 기술도 스토리텔링 저작       도구에 포함될 수 있지만, 본 보고서에서는 연구 대상을 텍스트 형태의 이야기 저작 도구로만 한정함- 시각화 기술은 영화 제작 과정 중 트리트먼트를 영상으로 만드는 스토리보드 작업 과정에서 주로 활용됨
     2. 스토리텔링 저작 도구의 해외 연구 동향과 사례 가. 드라마티카 프로
 (1) 특징
 ■ 드라마티카 프로는 미국의 라이트 브라더스(Write Brothers)에서 개발한 영화, 드라마용 시나리오 저작 소프트웨어로 헐리
      웃의 영화 시나리오 작가, 프로듀서나 연극작가, 방송작가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음- 이 제품은 캐릭터 설정, 플롯 구성, 테마 레이어 관리, 용어사전 등 창작 지원을 12가지의 도구를 제공하고 있으며, 각각의
        창작도구로 산출된 작업 내용을 스토리 엔진을 통해 하나의 완결된 스토리로 생성함- 창작도구의 주요 특징 가운데 쿼리 시스템이 포함되어 있는데, 창작 과정별로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주요 질문에 창작자가
        대답을 입력하는 방식- 라이트 브라더스 사의 발표에 따르면, 드라마티카 프로는 미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스토리 창작 소프트웨어 중에서 가장 많은
        판매고를 기록하고 있으며, 1990년 이후 미국 아카데미 후보작의 80%, 에미상 수상작의 90%가 이 제품을 사용해 창작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함- 그러나 이는 제작사의 추측에 근거한 수치이며, 헐리웃 관계자들의 전언에 의하면 실제로 헐리웃 작가들이 드라마티카
        프로를 사용하고 있다고 밝히는 빈도는 그리 높지 않다고 함- 가장 최신 버전이 2001년 개발된 이후, 아직까지 업그레이드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도 한계점으로 지적됨
 ■ 이 제품은 제작에 참여한 스토리 이론가인 멜라니 앤 필립(Melanie Anne Phillips)와 크리스 헌틀리(Chris Huntley)가 새롭게
      정립한 극작 이론인 뉴 씨어리 오브 스토리 (New Theory of Story)에 바탕을 두고 있음 - 이 이론은 이제까지 제작된 수많은 작품들의 스토리 구조와 캐릭터의 유형을 분석해 새로운 형태로 이론화시킨 것임
 - 이는 드라마티카 프로가 다른 일반적인 시나리오 창작 소프트웨어와 가장 큰 차별점을 지니는 부분임
 - 기존의 시나리오 창작 소프트웨어가 단순히 시나리오 쓰기에 적합한 워드프로세서 소프트웨어의 확장형에 가까웠다면,
        드라마티카 프로는 실제 문예창작 이론을 디지털 기술에 응용해 전문가들이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준으로 구현해        냈다는 강점을 지님      (2) 제공 기능 ■ 드라마티카 프로의 사용법은 캐릭터, 플롯, 스토리 포인트를 구조화하는 스토리 형성(Story Forming) 단계와 캐릭터들과
      스토리 진행방향을 결정하는 과정을 거쳐 스토리 구조와 포인트, 캐릭터를 종합적으로 합성하는 스토리 엮기(Storyweaving)       단계를 거치게 됨- 드라마티카의 초기 실행 시 스토리 가이드, 캐릭터 설정, 플롯 짜기, 테마 브라우저 등 12가지 기능으로 구성된 화면이 나타남
 
 
 -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기능은 스토리 가이드로, 이를 실행하면 세 가지 레벨(레벨 1에서는 60개, 레벨 2에서는 75개,
        레벨 3에서는 250개의 질문을 주어짐)에서 주어지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입력하고 정보의 속성을 결정하면 스토리의 개요가         자동적으로 짜이게 되는 방식임- 각각의 레벨은 만들 수 있는 스토리의 복잡성에 따라 구분되어 있으며, 하나의 레벨은 기본 정보 입력-스토리 형성
        (Storyforming)-구체화(Illustrating)-스토리 엮기 (Storyweaving)의 4단계로 이루어져 있음         ※ 자세한 내용은 첨부(PDF)화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