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KOCCA포커스 통권 190호] 게임의 긍정적 효과와 가치: 데이터로 다시 읽는 게임산업 2025.06.10 50

통권 190호 2025.05.26 KOCCAFOCUS | 게임의 긍정적 효과와 가치: 데이터로 다시 읽는 게임산업 | KOCCAFOCUS | 한국콘텐츠진흥원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로고) | 게임의 긍정적 효과와 가치 : 데이터로 다시 읽는 게임산업 | 김 학 균 한국콘텐츠진흥원 콘텐츠산업정책연구센터 데이터정책팀 hgk3548@kocca.kr | SUMMARY | ‘악마화’된 게임, 그 오해의 출발점 | • 게임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급격한 성장을 이루며 대표적인 디지털 콘텐츠 산업으로 자리 잡았으나, 여전히 국내에서는 ‘중독’, ‘폭력성’, ‘청소년 유해 매체’와 같은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하게 작용 하고 있음 • 특히 게임산업 초기부터 시작된 언론의 선정적 보도, 비과학적 규제, 낙인 프레임이 결합 되면서 게임은 사회적 악으로 규정되었고 산업 경쟁력은 하락하는 결과를 초래 | 게임의 사회적 낙인에 대한 현실과 원인 | • 최근 게임이용자에 대한 실태조사 및 임상 연구들은 게임이 단지 위험 요소가 아니라, 정서적 안정, 사회적 연결, 창의적 문제 해결 등 다양한 긍정적 기능을 수행한다는 사실을 입증 • 예컨대, 게임은 청소년에게 스트레스 해소와 감정조절의 수단이 되고 있으며, 협동형 게임을 통해 사회적 유대감을 형성하거나 자존감을 회복하는 사례도 확인 • 과몰입에 대한 과도한 일반화나 병리화보다는, 게임 이용 동기와 심리사회적 맥락에 대한 정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 | 게임의 긍정적 효과와 가치 재조명이 필요 | • 본 보고서는 게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흐름과 오해의 기원을 분석하고, 실증 자료에 기반하여 게임의 복합적 가치와 긍정적 가능성을 조명 • 이를 바탕으로, 규제 중심의 정책에서 벗어나 이용자 권익과 문화적 다양성을 포용하는 방향으로의 전환 필요성을 강조하며, 게임을 사회적 자원으로 적극 활용하기 위한 정책과제를 제안


게임의 긍정적 효과와 가치: 데이터로 다시 읽는 게임산업

디지털 콘텐츠산업의 대표 주자인 게임산업은 ‘중독’, ‘폭력성’과 같은 부정적 이미지를 내포하고 있지만, ‘정서적 안정’, ‘사회적 유대감 형성’ 등의 긍정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연구 결과 나타남 이에 따라 본 보고서는 게임의 사회적 인식, 오해의 기원 분석과 게임의 복합적 가치 및 긍정적 가능성을 조명하고, 게임을 사회적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정책과제를 제시함

# 키워드: 게임산업, 콘텐츠산업, 게임, 게임 중독, 게임 폭력성, 청소년 유해 매체

ㅇ ‘악마화’된 게임, 그 오해의 출발점
• 게임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급격한 성장을 이루며 대표적인 디지털 콘텐츠 산업으로 자리 잡았으나,여전히 국내에서는 ‘중독’, ‘폭력성’, ‘청소년 유해 매체’와 같은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하게 작용 하고 있음
• 특히 게임산업 초기부터 시작된 언론의 선정적 보도, 비과학적 규제, 낙인 프레임이 결합 되면서 게임은 사회적 악으로 규정되었고 산업 경쟁력은 하락하는 결과를 초래

ㅇ 게임의 사회적 낙인에 대한 현실과 원인
• 최근 게임이용자에 대한 실태조사 및 임상 연구들은 게임이 단지 위험 요소가 아니라, 정서적 안정,사회적 연결, 창의적 문제 해결 등 다양한 긍정적 기능을 수행한다는 사실을 입증
• 예컨대, 게임은 청소년에게 스트레스 해소와 감정조절의 수단이 되고 있으며, 협동형 게임을 통해 사회적 유대감을 형성하거나 자존감을 회복하는 사례도 확인
• 과몰입에 대한 과도한 일반화나 병리화보다는, 게임 이용 동기와 심리사회적 맥락에 대한 정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

ㅇ게임의 긍정적 효과와 가치 재조명이 필요
• 본 보고서는 게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흐름과 오해의 기원을 분석하고, 실증 자료에 기반하여 게임의 복합적 가치와 긍정적 가능성을 조명
• 이를 바탕으로, 규제 중심의 정책에서 벗어나 이용자 권익과 문화적 다양성을 포용하는 방향으로의 전환 필요성을 강조하며, 게임을 사회적 자원으로 적극 활용하기 위한 정책과제를 제안

※ 자세한 내용은 첨부(PDF)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현재 페이지의 콘텐츠 안내 및 정보 제공에 만족하십니까?

평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