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애니메이션 산업 동향"
     ● 작성취지╶ 애니메이션 영화는 미국 영화산업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장르 중 하나이며, 미국영화산업을 살리는 장르로 발전하고
     있기에 이 분야의 동향을 살펴보는데 취지가 있음   ● 작성순서╶ 들어가기
 ╶ 등급별 애니메이션 동향 및 사업 구조
 ╶ 2013년 상반기 개봉되었던 애니메이션
 ╶ 개봉예정 작품들과 추세
 ╶ 정리 및 시사점
   1. 들어가기
 ╶ 미국의 애니메이션 산업은 1937년 최초 애니메이션 영화인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가 극장에서 상영된 이후로 꾸준히
     발전해왔음╶ MPAA(The Motion Picture Association of America)의 통계에 의하면 2012년 전 세계 극장수익은 2011년에 비해 6.4% 증가
     된 347억 달러(약 38조 원)을 기록하였음╶ 2009년도 미국의 애니메이션 시장은 172억 3,9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2010년에는 소폭 상승(약 1.4%)하여 174억 8,500만
     달러를 기록하였음╶ 또한, 2015년까지 매년 3% 이상의 신장률을 기록하며 20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보임
 ╶ 작년 한해 평균 영화 관람수를 따져볼 때, 11세 미만 어린이들은 3번 영화를 관람하였으며, 18~24세는 평균 8번 관람함
 ╶ 특히 11세 미만의 관객들의 경우 부모 혹은 성인과 동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11세 미만의 관객들의 영향력은
     상당하다고 볼 수 있음╶ 반면, 50세 이상의 성인에게서는 HD 및 3D TV의 발전으로 뚜렷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미국 영화협회(MPAA)의 5가지 영화 등급
 
    ╶ 미국에서 제작되는 영화 중 55%는 R 등급, 35%는 PG-13 등급, 10%는 PG 등급이며, 단지 3%만이 G 등급으로 상영됨╶ 비슷한 장르의 영화로써 PG-13 등급을 받은 영화는 R 등급을 받은 영화에 비해 약 40% 더 많은 수익을 올리고 있음
 ╶ 또한 비슷한 장르의 영화로써 PG 등급을 받은 영화는 PG-13 등급을 받은 영화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수익을 올리고 있음
 ╶ 수익 면에서는 PG-13 등급이하의 영화들이 그 이외의 영화들에 비해 높은 수치를 보이는 경우를 볼 수 있음
 ╶ 이에 같은 영화지만 편집을 통해 관람 등급 내려 DVD 혹은 케이블 등을 통해 배급함으로써 수익을 올리는 경우도 있음
 ╶ 디즈니를 중심으로 제작된 애니메이션들은 주로 어린이 동화책에 바탕을 두었으며, 2000년대부터는 컴퓨터 애니메이션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제작 콘텐츠 역시 다양해 졌음╶ 이에 수익구조 역시 많은 변화가 생기면서 더불어 위험부담 역시 증가되는 추세임
     2. 등급별 애니메이션 동향 및 사업 구조   
 극장 표 판매 현황 및 시장 점유율[출처: the-numbers.com]
   
 1995년부터 2013년까지의 극장 수익 및 수익의 현재 가치[출처: the-numbers.com]
    ╶ 1995년부터 2013년까지 약 9년 동안의 극장 수익 및 수익을 보았을 때, 2004년 개봉되고 PG 등급인 <슈렉 2>가 1위를 차지     하였고, 2003년 개봉되었던 <니모를 찾아서>와 2010년 개봉되었던 <토이스토리 3>는 G 등급의 애니메이션으로써 순위 2위와      3위를 기록하였음   
 시장 점유율[출처: the-numbers.com]
 ╶ 기본적으로 메이저 영화사인 디즈니, 비아콤, 뉴스 코포레이션, 타임워너가 애니메이션의 제작과 배급 그리고 방송까지 일괄적
     으로 진행하고 있음   
 미국 메이져 영화사의 계열사 현황[출처: Wikipedia]
    ╶ 현재까지 가장 큰 수익을 올린 G~PG13 등급의 영화들 중 디즈니사(픽사)의 제작 및 배급이 주를 이루며 최근 드림웍스와      20세기 폭스 사 등이 그 뒤를 따르고 있음         ※ 자세한 내용은 첨부(PDF)화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