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 콘솔 독점 전략 버린 MS, Xbox의 멀티플랫폼 전환
글로벌 게임산업 동향
집필: EC21R&C 양세환 책임연구원

Executive Summary
이슈 배경
- 2025년 초 <인디아나 존스: 그레이트 서클> PS5 출시 발표로 Xbox 게임 독점 전략 포기 공식화
- Xbox 하드웨어 매출 지속 감소와 GamePass 서비스 성장세 (3,400만 구독자 돌파)
- AAA게임 개발 비용 급증으로 단일 플랫폼 독점으로는 투자 회수 어려움
- 클라우드 게이밍 성장과 디지털 유통 확대로 물리적 하드웨어 중요성 감소
- 필 스펜서 Xbox 대표는 이러한 전략에 대해 “Xbox는 정체성을 잃는 것이 아니라 진화하고 있다”고 언급
게임산업에 미치는 영향
- 콘솔 독점 게임의 의미와 가치 재평가 (FOMO마케팅 효과의 감소)
- 플랫폼 간 경계 붕괴 가속화 (크로스플랫폼, 크로스플레이 표준화)
- 구독형 서비스 중심의 비즈니스 모델 혁신
- 플랫폼 기업의 역할 재정립 (하드웨어 제조사 → 게임 서비스 제공자)
- ‘독점 게임’ 대신 ‘어디서든 플레이 가능’이라는 접근성 강조 마케팅
한국 게임산업의 대응 방향
- 크로스플랫폼 개발 역량 강화 (통합 개발 파이프라인 구축)
- 구독형 서비스 시장 전략적 접근 및 새로운 수익 모델 발굴
- 플랫폼 다변화에 따른 수익 극대화 전략 수립
- 플랫폼 간 연계 서비스 개발 및 유저 경험 최적화
1. Xbox의 플랫폼 전략 대전환
Xbox의 독점 전략 포기와 멀티플랫폼 전환 선언
2025년 초, 마이크로소프트는 베데스다의 대작 <인디아나 존스: 그레이트 서클>을 Xbox 독점이 아닌 PS5에도 출시하겠다고 발표했다.이는 단순한 개별 게임의 플랫폼 확장이 아닌, Xbox의 근본적인 전략 변화를 알리는 신호탄이었다. 업계 내부자들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미 “Xbox 퍼스트파티 독점은 더 이상 없다”는 내부 결정을 내린 상태였으며, 이는 콘솔 시장에서 20년 이상 지속되어온 독점 게임 경쟁 패러다임의 종말을 의미했다.
이러한 전략 전환의 배경에는 Xbox 하드웨어 판매 부진과 GamePass 서비스의 성장이 자리하고 있다.2025년 1월 재무 보고에 따르면 Xbox 하드웨어 매출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반면, GamePass와 <콜 오브 듀티> 같은 서비스 및 콘텐츠 매출은 기록적인 성장세를 보였다.필 스펜서 Xbox대표는 “Xbox는 정체성을 잃는 것이 아니라 진화하고 있다”며 하드웨어 중심에서 서비스 중심으로의 전환을 강조했다.
이 전략 변화는 게임산업 전반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전통적으로 콘솔 시장은 독점 게임을 통한 하드웨어 판매 촉진이라는 비즈니스 모델에 의존해왔다. 그러나 게임 개발 비용의 급격한 증가와 구독 서비스의 부상으로 이러한 모델의 지속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문 스튜디오의 CEO 토마스 말러는 “우리는 진정한 전환점에 있으며, AAA 독점 게임은 이미 그 수명을 다했다”고 언급하며 산업의 구조적 변화를 지적했다.
<표> Xbox 독점 게임의 멀티플랫폼 전환 주요 사례
Xbox의 멀티플랫폼 전략은 2025년을 기점으로 본격화되고 있다. 위 표에서 볼 수 있듯이, 과거 Xbox와 PC에만 출시되던 주요 독점 타이틀들이 PS5로 확장되고 있으며, 일부 신작은 출시 시점부터 멀티플랫폼으로 계획되어 있다. 특히 주목할 점은 플랫폼 확장 예정과 동시 출시 예정의 차이다. <인디아나 존스: 그레이트 서클>과 같은 플랫폼 확장 예정인 게임들은 Xbox와 PC에 먼저 출시된 후 PS5로 확장되는 경우인 반면, <둠: 더 다크 에이지스>와 같은 동시 출시 예정 게임들은 처음부터 모든 플랫폼에 동시에 출시되는 신작들이다.
이는 Xbox가 단계적으로 멀티플랫폼 전략을 심화시키고 있음을 보여준다. 초기에는 기존 게임의 플랫폼 확장에서 시작하여, 이제는 신작부터 모든 플랫폼에 동시 출시하는 전략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Xbox가 단순히 일부 게임의 플랫폼을 확장하는 것이 아니라, 근본적인 비즈니스 모델 전환을 진행하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준다. 게임산업 전반에 걸쳐 플랫폼 간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으며, 향후 더 많은 Xbox 게임 스튜디오의 작품들이 멀티플랫폼으로 출시될 것으로 예상된다.
2. Xbox 멀티플랫폼 전략의 배경과 영향
전략 전환의 배경과 요인
Xbox의 멀티플랫폼 전략으로의 전환은 단순한 일시적 결정이 아닌, 게임산업의 구조적 변화와 Xbox 사업 모델의 진화를 반영한 결과다. 이러한 전략 전환의 가장 큰 배경은 Xbox 하드웨어 사업의 지속적인 부진이다. 2024년 12월 31일에 마감된 2024년 2분기 재무 보고에 따르면, Xbox 하드웨어 매출은 전년 대비 29% 감소했으며, 이는 PlayStation 5와의 경쟁에서 지속적으로 열세에 놓여있음을 보여준다. 반면 Game Pass 구독자 수는 3,400만 명을 돌파하며 서비스 부문에서는 강세를 보이고 있다.
두 번째 요인은 AAA 게임 개발 비용의 급격한 증가다. 현대 AAA 게임의 개발 비용은 평균 1억 달러를 넘어서고 있으며, 마케팅 비용까지 포함하면 그 규모는 더욱 커진다. 이러한 상황에서 단일 플랫폼 독점으로는 투자 회수가 어려워지고 있다. 게임 월드 옵저버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는 Game Pass에 서드파티 게임을 유치하기 위해 연간 10억 달러 이상을 지출하고 있으며, 이는 게임 콘텐츠 확보에 대한 투자 규모가 얼마나 커졌는지 보여준다.
세 번째 요인은 클라우드 게이밍과 디지털 유통의 성장이다. Xbox 생태계 내 게임 이용 시간 중 클라우드 게이밍이 차지하는 비중은 이미 두 자릿수 퍼센티지에 도달했다. 이는 물리적 하드웨어의 중요성이 점차 감소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필 스펜서는 “우리는 하드웨어 판매에 집착하지 않는다. 중요한 것은 플레이어들이 어디서든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마이크로소프트의 기업 전략 변화도 중요한 요인이다. 사티아 나델라 CEO 체제 하에서 마이크로소프트는 클라우드와 서비스 중심 기업으로 전환했으며, 이는 Xbox 사업에도 반영되고 있다. 게임산업 분석가들은 “Xbox는 더 이상 콘솔 제조사가 아니라 게임 서비스 제공자로 진화하고 있다”고 평가한다.
게임산업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Xbox의 멀티플랫폼 전략 전환은 게임산업 전반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콘솔 독점 게임’의 의미와 가치 재평가다. 지난 20여 년간 게임산업에서 독점 타이틀은 하드웨어 판매를 촉진하는 핵심 요소였다. 그러나 Xbox의 전략 변화는 이러한 패러다임에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한다. 전 PlayStation 임원은 “Xbox가 독점 게임을 PS5에 출시하는 것은 세가가 선례를 만들었지만, 이는 FOMO(Fear Of Missing Out, 놓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를 만들기 어렵게 한다”고 지적했다.
플랫폼 간 경계 붕괴 현상도 가속화되고 있다. 과거 게임 플랫폼은 명확히 구분된 생태계를 형성했으나, 이제는 크로스플랫폼 게임과 크로스플레이가 표준이 되어가고 있다. 이코노믹데일리에 따르면, “같은 게임을 PC와 콘솔에서 동시에 즐기는 크로스플랫폼이 핵심 전략으로 자리 잡았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변화는 게임 개발사들에게 더 넓은 시장 접근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플랫폼 홀더들의 차별화 전략 수정을 요구하고 있다.
게임 유통 채널의 다변화도 주목할 만한 변화다. 디지털 유통이 주류가 되면서 플랫폼 홀더의 디지털 스토어 외에도 다양한 유통 경로가 등장하고 있다. Epic Games Store, Steam 등 PC 플랫폼의 영향력이 커지고, 모바일 게임 시장의 성장세도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Xbox의 멀티플랫폼 전략은 게임 유통의 개방성을 더욱 강화하는 촉매제 역할을 하고 있다.
플랫폼 기업 간 협력 관계도 변화하고 있다. 과거 Microsoft, Sony, Nintendo는 철저한 경쟁 관계였으나, 이제는 부분적 협력 관계로 진화하고 있다. Microsoft와 Nintendo의 협력이 확대되고 있으며, Sony도 PC 플랫폼으로 독점 게임을 확장하는 등 변화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게임산업 전문가들은 이러한 현상에 대해 “플랫폼 간 협력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표> 주요 게임사들의 크로스플랫폼 전략 비교
Microsoft는 가장 적극적인 멀티플랫폼 전략을 추진하고 있으며, 독점 정책을 사실상 폐기했다. 반면 Sony는 여전히 독점 게임을 중요한 경쟁력으로 유지하면서도 일부 타이틀의 PC 출시를 통해 제한적인 크로스플랫폼 전략을 시도하고 있다. Nintendo는 가장 보수적인 접근법을 유지하며 자사 독점 콘텐츠와 하드웨어의 결합에 집중하고 있다.
퍼블리셔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멀티플랫폼 전략을 채택해왔으나, 최근에는 구독 서비스와 크로스플레이 지원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특히 Epic Games는 <포트나이트>를 통해 크로스플랫폼 게임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했으며, 언리얼 엔진을 통해 개발자들의 크로스플랫폼 게임 제작을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접근법은 게임산업이 플랫폼 중심에서 콘텐츠와 서비스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3. 한국 게임산업의 대응 방향
크로로스플랫폼 개발 역량 강화
한국 게임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크로스플랫폼 개발 역량 강화가 필수적이다. Xbox의 멀티플랫폼 전략 전환은 게임산업 전반에 플랫폼 경계 허물기를 가속화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단일 플랫폼에 집중하는 개발 방식은 시장 기회를 제한할 수 있다. 국내 게임 개발사들은 언리얼 엔진, 유니티 등 크로스플랫폼 개발을 지원하는 엔진 활용 역량을 강화하고, 다양한 하드웨어 환경에 최적화된 게임 개발 프로세스를 구축해야 한다.
특히 콘솔, PC, 모바일을 아우르는 통합 개발 파이프라인 구축이 중요하다. 이는 단순히 기술적 역량만이 아닌, 각 플랫폼의 특성과 사용자 경험을 이해하고 이를 게임 디자인에 반영할 수 있는 종합적 역량을 의미한다. 국내 대형 게임사들은 이미 이러한 방향으로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나, 중소 개발사들의 경우 기술적 진입장벽이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정부와 산업계는 중소 개발사들의 크로스플랫폼 개발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글로벌 스탠다드 준수와 현지화 전략도 중요하다. 크로스플랫폼 환경에서는 다양한 지역과 문화권의 사용자들에게 게임을 제공하게 되므로, 글로벌 스탠다드를 준수하면서도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현지화 전략이 필요하다. 이는 단순한 언어 번역을 넘어, 문화적 맥락과 사용자 경험을 고려한 종합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서비스 혁신과 경쟁력 강화
크로스플랫폼 시대의 마케팅 전략도 혁신이 필요하다. 과거 ‘독점 게임’이라는 마케팅 포인트가 중요했다면, 이제는 ‘어디서든 플레이 가능’이라는 접근성이 강조되고 있다. Xbox의 ‘Play Anywhere’ 정책과 ‘Xbox Everywhere’ 비전은 이러한 변화를 잘 보여준다. 전 PlayStation 임원이 언급했듯이 “독점 게임을 통한 FOMO 마케팅이 어려워지고 있다”는 현실을 인식하고, “훌륭한 콘텐츠를 더 많은 플랫폼에 제공하는 것에 피해자는 없다”는 관점에서 마케팅 전략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플랫폼 간 연계 서비스 개발도 중요한 과제다. 사용자들이 여러 플랫폼을 오가며 게임을 즐기는 환경에서, 플랫폼 간 원활한 연동과 일관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경쟁력의 핵심이 될 수 있다. 크로스세이브, 크로스프로그레션, 크로스플레이 등의 기능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유저 경험 최적화 역시 중요한 과제다. 각 플랫폼의 특성을 고려한 최적화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면서도, 플랫폼 간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은 쉽지 않은 도전이다. 국내 게임사들은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철학을 바탕으로, 다양한 플랫폼에서 최적의 게임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연구와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 수립도 재고해야 한다. 크로스플랫폼 환경은 글로벌 시장 진출의 기술적 장벽을 낮추지만, 동시에 경쟁 강도를 높인다. 국내 게임사들은 차별화된 콘텐츠와 서비스로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 특히 한국 게임의 강점인 높은 퀄리티를 바탕으로, 글로벌 사용자들의 니즈에 맞는 현지화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표> Xbox의 멀티플랫폼 전략 전환과 게임산업 영향
참고문헌
- Screenrant, "Xbox Game Pass On PlayStation May Be Closer To Reality Than It Seems", 2025년 4월 2일, https://screenrant.com/xbox-game-pass-playstation-consoles-op-ed/
- 이코노믹데일리, "PC·콘솔 게임 선호도 꾸준히 증가…플랫폼 다변화 가속", 2025년 3월 5일, https://www.economidaily.com/view/20250305153431045
- XboxEra, "Xbox Everywhere | Unpacking Xbox's New Vision", 2025년 3월 14일, https://xboxera.com/2025/03/14/xbox-everywhere-unpacking-xboxs-new-vision/
- Game World Observer, "Is this an Xbox?: How Microsoft turning into multiplatform publisher that has yet to find its identity", 2025년 3월 28일, https://gameworldobserver.com/2025/03/28/microsoft-multiplatform-strategy-xbox-identity
- GamesIndustry.biz, "Xbox wades cautiously into a multiplatform future", 2025년 4월 2일, https://www.gamesindustry.biz/xbox-wades-cautiously-into-a-multiplatform-future-opinion
- Vamers, "Adapt or Die: Xbox Shifting Strategy will Redefine the Industry", 2025년 2월 19일, https://vamers.com/2025/02/19/xbox-shifting-strategy/
- Game World Observer, "Xbox's record results for Game Pass and Call of Duty offset by continued decline in hardware revenue", 2025년 1월 30일, https://gameworldobserver.com/2025/01/30/xbox-record-q2-game-pass-cod-hardware-revenue-decline
- Game World Observer, "Moon Studios CEO on why AAA exclusives ran their course and what's next for Xbox/PlayStation: 'We're at a real turning point'", 2024년 5월 6일, https://gameworldobserver.com/2024/05/06/aaa-games-turning-point-thomas-mahler-moon-studios
- Windows Central, "Inside the risky Xbox strategy that will define its next decade", 2025년 4월 2일, https://www.windowscentral.com/gaming/xbox/inside-the-risky-strategy-that-will-define-xboxs-next-decade
- Pure Xbox, "Xbox Is 'Evolving' Rather Than 'Losing' Its Identity, Says Phil Spencer", 2025년 1월 3일, https://www.purexbox.com/news/2025/01/xbox-is-evolving-rather-than-losing-its-identity-says-phil-spencer
- TheGamer, "If Microsoft Abandons Exclusives, What Next For Xbox And For Players?", 2025년 4월 2일, https://www.thegamer.com/xbox-future-multiplatform-rumours-microsoft/
- Inkl News, "Xbox 'vision for the future' could be a Switch-like…", 2025년 4월 2일, https://www.inkl.com/news/xbox-vision-for-the-future-could-include-handheld-gaming-and-an-end-to-console-exclusives
- Pure Xbox, "Xbox's New Strategy Is 'Right' For The Business And Needs To Be Embraced, Says Former Exec", 2025년 2월 5일, https://www.purexbox.com/news/2025/02/xboxs-new-strategy-is-right-for-the-business-and-needs-to-be-embraced-says-former-exec
- GamesRadar+, "Xbox bringing its exclusives to PS5 has a precedent set by Sega, but 'it makes the conversation harder to create the FOMO,' says former PlayStation boss", 2025년 4월 2일, https://www.gamesradar.com/games/xbox-bringing-its-exclusives-to-ps5-has-a-precedent-set-by-sega-but-it-makes-the-conversation-harder-to-create-the-fomo-says-former-playstation-boss/
- Boundingintocomics, "Xbox's New Multiplatform Strategy Receives Praise From Former PlayStation Execs: 'Putting Amazing Content On More Platforms, Who's The Victim?'", 2025년 4월 2일, https://boundingintocomics.com/video-games/video-game-news/xbox-multiplatform-decision-praise-playstation-exe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