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Capsaicin 1.2와 오픈소스 렌더링 프레임워크의 혁신
글로벌 게임산업 동향
집필: EC21R&C 양세환 책임연구원
Executive Summary
이슈 배경
- 게임 그래픽 기술의 새로운 전환점으로 AMD의 Capsaicin 프레임워크 등장
- 특정 GPU 제조사에 종속되지 않는 개발 환경에 대한 산업적 요구 증가
- 오픈소스 기반 렌더링 기술로 개발자 커뮤니티의 집단 지성 활용 가능성 확대
- 복잡한 API 세부사항보다 알고리즘 개발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 제공 필요성
기술 혁신과 산업 영향
- 모듈형 설계로 개발자가 필요 기능만 선택적 활용하는 유연한 파이프라인 구성 가능
- 실시간 글로벌 일루미네이션과 레디언스 캐싱 기술로 시각적 품질 혁신
- 하나의 코드베이스로 다양한 GPU에서 일관된 성능 구현으로 개발 효율성 향상
- 중소 개발사의 고품질 그래픽 구현 장벽 낮추어 시장 다양성 증진
- 하드웨어 제조사 간 경쟁 양상 변화와 표준화된 API 중심의 생태계 형성
게임산업 대응 전략
- 모던 렌더링 파이프라인에 대한 기술적 역량 강화 투자
- 완전한 전환보다 포스트 프로세싱,특정 렌더 패스 등 단계적 도입 전략 수립
- 산학연 협력을 통한 Vulkan 기반 렌더링 기술 연구와 실무 적용 사례 축적
- 중소 개발사 대상 오픈소스 렌더링 기술 활용 가이드라인 및 교육 지원
1. AMD의 그래픽스 연구 프레임워크 개요
Capsaicin 1.2 출시 배경과 의의
AMD는 실시간 그래픽스 연구를 위한 오픈소스 프레임워크인 Capsaicin을 2023년 공개했고, 2025년 2월 1.2버전 업데이트를 공개했다. Capsaicin 프레임워크는 단순한 기술 도구를 넘어 게임 그래픽 개발 방식의 패러다임 전환을 가져올 잠재력을 지닌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Vulkan API7)를 기반으로 한 저수준 하드웨어 추상화 계층을 통해 개발자들이 복잡한 API 세부사항보다 알고리즘 개발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Capsaicin의 핵심 철학은 “복잡한 저수준 하드웨어 구현 세부사항 위에 간단한 추상화 계층을 만들어 개발자가 API 복잡성보다 알고리즘에 집중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는 게임 개발 현장에서 그래픽 프로그래머들이 직면하는 주요 도전 과제를 해결하는 접근법으로, 특히 다양한 하드웨어 환경에서의 최적화 문제를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접근법은 최근 발표된 Vulkan 1.4 API와 함께 시너지를 발휘하며 게임 그래픽 기술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오픈소스 렌더링 프레임워크의 특징
Capsaicin 프레임워크는 모듈식 설계를 채택하여 프레임워크 코어(Framework Core), 렌더 모듈(Render Modules), 라이팅 패스(Lighting Pass), 포스트 프로세싱(Post-processing), 머티리얼&셰이더 시스템 (Material & Shader System), 씬 매니지먼트(Scene Management) 등 기능별로 명확히 구분된 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모듈화 접근법은 개발자가 필요한 기능만 선택적으로 활용하여 경량화된 렌더링 파이프라인을 구성할 수 있게 해준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GPU 독립적(GPU-agnostic) 설계 철학이다. 이는 특정 하드웨어 제조사에 종속되지 않고 다양한 GPU에서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접근법은 게임 개발사들이 다양한 플랫폼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준다. 실제로 Mesa 오픈소스 드라이버8)는 이미 AMD, Apple, Intel, NVIDIA, Qualcomm 하드웨어에서 Vulkan 1.4 적합성을 통과했으며, 스팀 덱도 Vulkan 1.4를 지원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게임산업에 미칠 영향은?
Capsaicin 프레임워크의 공개는 게임 그래픽 기술 생태계에 여러 측면에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우선, 오픈소스 방식의 접근은 기술 혁신의 속도를 가속화할 가능성이 크다. 개발자 커뮤니티의 집단 지성을 활용한 지속적인 개선과 확장이 가능해지며, 이는 전체 산업의 기술 수준을 끌어올리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중소 개발사들에게 특히 의미 있는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고품질 렌더링 기술에 대한 접근성이 향상됨으로써, 대형 스튜디오만이 구현할 수 있었던 수준의 그래픽 품질을 중소 규모의 개발팀도 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리게 된다. 이는 게임 시장의 다양성을 증진시키고, 창의적인 시도를 촉진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더불어, 크로스 플랫폼 개발 환경의 표준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Vulkan API의 확산과 함께, 다양한 하드웨어 환경에서 일관된 그래픽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용이해짐에 따라 멀티플랫폼 개발 전략을 수립하는 데 있어 중요한 기술적 기반이 될 수 있다.
2. 주요 그래픽 품질 진화 사례
차세대 렌더링 기술의 실제 적용 사례
Capsaicin 프레임워크는 단순한 개발 도구를 넘어 최신 렌더링 기술을 실제 구현하는 플랫폼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특히 주목할 만한 기능으로는 GI-1.1(Global Illumination)기술이 있다.이 기술은 실시간 글로벌 일루미네이션9)을 구현하면서도 사전 처리 과정 없이 즉각적인 결과물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혁신적이다.최근 업데이트된 GI-1.1은 광택 반사(glossy reflections)렌더링 지원을 추가하여 더욱 사실적인 시각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Capsaicin은 스크린 스페이스와 월드 스페이스에서의 레디언스 캐싱(radiance caching)10)을 지원하여 계산 비용이 높은 글로벌 일루미네이션 효과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월드 스페이스 레저버 샘플링(world space reservoir sampling)11) 기술을 통해 노이즈를 줄이고 이미지 품질을 향상시키는 접근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술들은 특히 오픈월드 게임이나 동적 환경이 많은 게임에서 시각적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시각적 품질 향상과 게임성의 관계
그래픽 기술의 발전은 단순히 시각적 품질 향상에 그치지 않고 게임 경험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 Capsaicin이 제공하는 고급 렌더링 기술들은 게임 디자인과 게임플레이에도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준다. 예를 들어, 정교한 조명 시스템은 호러 게임에서 긴장감을 조성하거나, 탐험 게임에서 플레이어의 시선을 자연스럽게 유도하는 등 게임플레이 요소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실시간 글로벌 일루미네이션과 같은 기술은 동적 환경에서의 몰입감을 크게 향상시킨다.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조명, 날씨 효과, 파괴 가능한 환경 등이 자연스럽게 표현될 수 있어, 플레이어의 행동에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생동감 있는 게임 세계 구축이 가능해진다. 이는 단순한 미적 개선을 넘어 게임 내 상황 인식과 전략적 판단에도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또한, 최적화된 렌더링 기술은 하드웨어 요구사항을 낮추면서도 높은 시각적 품질을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이는 더 많은 플레이어가 고품질 그래픽을 경험할 수 있게 함으로써 게임의 접근성을 높이고, 개발사의 잠재적 시장을 확대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Capsaicin의 GPU 독립적 접근법은 이러한 측면에서 특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표> 3. 그래픽 품질 향상 사례 비교
3. 시장 구도 변화 전망
GPU 독립적 개발의 의미
Capsaicin 프레임워크가 추구하는 GPU 독립적 접근법은 게임 개발 생태계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이는 단순히 여러 하드웨어에서 작동하는 기술적 호환성을 넘어, 게임 개발사와 하드웨어 제조사 간의 관계 재정립을 의미한다. 전통적으로 게임 개발사들은 특정 GPU 벤더의 기술에 최적화된 개발 방식을 채택해왔으며, 이는 종종 개발 리소스의 분산과 플랫폼별 최적화 작업의 중복을 초래했다.
Capsaicin과 같은 GPU 독립적 프레임워크의 등장은 이러한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다. 개발자들은 하나의 렌더링 코드베이스로 AMD, NVIDIA, Intel 등 다양한 GPU에서 일관된 성능과 시각적 품질을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개발 효율성 측면에서 큰 이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특정 하드웨어에 종속되지 않는 기술적 자율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해준다.
더불어, 이러한 접근법은 하드웨어 제조사들 간의 경쟁 양상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특정 독점 기술보다는 표준화된 API와의 호환성, 성능 최적화, 개발자 지원 등이 더욱 중요한 경쟁 요소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다. 이는 궁극적으로 게임산업 전체의 기술적 진보와 혁신을 가속화하는 긍정적인 변화로 이어질 수 있다.
글로벌 게임사들의 대응 동향
Capsaicin과 같은 오픈소스 렌더링 프레임워크의 등장에 대한 글로벌 게임사들의 반응은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일부 대형 스튜디오들은 이미 자체 개발한 독자적인 렌더링 엔진에 상당한 투자를 해왔기 때문에, 단기적으로는 기존 기술 스택을 유지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오픈소스 프레임워크의 특정 모듈이나 알고리즘을 자사 엔진에 통합하는 하이브리드 접근법을 채택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일부 선도적인 게임사들이 자체 기술의 일부를 오픈소스화하는 추세다. 이는 업계 표준 확립과 더 넓은 개발자 커뮤니티의 지원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예를 들어, 에픽 게임즈의 언리얼 엔진은 소스 코드 접근성을 높이고, Unity Technologies는 특정 렌더링 컴포넌트를 오픈소스로 공개하는 등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또한, 크로스 플랫폼 개발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많은 글로벌 게임사들이 Vulkan과 같은 개방형 API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이는 Capsaicin과 같은 Vulkan 기반 프레임워크의 잠재적 영향력을 더욱 확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결과적으로, 게임 그래픽 기술 생태계는 폐쇄적 독점 시스템에서 보다 개방적이고 협력적인 모델로 점진적인 전환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4. 게임산업의 대응 전략
기술 도입을 위한 준비사항
Capsaicin과 같은 차세대 렌더링 프레임워크를 효과적으로 도입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준비와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우선, 기술적 역량 강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Vulkan API와 모던 렌더링 파이프라인에 대한 이해, 모듈형 설계 방식의 개발 경험 등이 핵심 역량으로 요구된다. 개발팀 내 그래픽스 프로그래머의 전문성 확보와 지속적인 교육 투자는 이러한 기술 전환의 성공을 위한 필수 요소다.
또한, 기존 프로젝트와의 통합 전략을 신중하게 수립해야 한다. 완전한 전환보다는 단계적 도입 방식이 현실적인 접근법이다. 예를 들어, 초기에는 포스트 프로세싱이나 특정 렌더 패스와 같은 독립적인 모듈부터 적용하고, 점진적으로 통합 범위를 확대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이는 리스크를 최소화하면서도 새로운 기술의 이점을 점진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해준다.
더불어, 오픈소스 커뮤니티와의 적극적인 협업 체계를 구축하는 것도 중요하다. Capsaicin의 GitHub 레포지토리를 통한 코드 분석, 이슈 트래킹, 기여 활동 등에 참여함으로써 최신 개발 동향을 파악하고 필요한 기능 개선에 직접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커뮤니티 참여는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장기적인 기술 역량 강화로 이어질 수 있는 중요한 활동이다.
한국 게임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
한국 게임산업이 Capsaicin과 같은 차세대 렌더링 기술을 활용하여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핵심 전략이 필요하다. 첫째, 산학연 협력 체계를 강화하여 최신 그래픽 기술에 대한 연구와 교육을 활성화해야 한다. 대학과 연구기관에서 Vulkan 기반 렌더링 기술에 대한 전문 과정을 개설하고, 산업계와의 공동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실무 적용 사례를 축적해 나가야 한다.
둘째, 독자적인 시각화 렌더링 구축이 필요한 중소 게임사들의 기술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지원 체계가 필요하다. 정부 및 관련 기관에서는 오픈소스 렌더링 기술 활용을 위한 가이드라인, 교육 프로그램, 기술 컨설팅 등을 제공함으로써 기술 격차를 해소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특히 한국 게임산업의 강점인 모바일 게임 분야에서는 Metal 기반 렌더링 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시각적 품질과 성능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전략이 효과적일 수 있다.
셋째, 글로벌 오픈소스 커뮤니티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와 기여를 장려해야 한다. 한국 개발자들이 Capsaicin과 같은 프로젝트에 코드 기여, 버그 리포팅, 문서화 등을 통해 참여함으로써 글로벌 기술 생태계 내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한국 게임산업의 기술적 위상을 높일 수 있다. 이는 단순한 기술 수용자에서 기술 선도자로의 전환을 의미하며, 장기적인 경쟁력 확보에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참고문헌
- GitHub, “GPUOpen-LibrariesAndSDKs/Capsaicin: AMD ARR team rendering framework”, n.d., https://github.com/GPUOpen-LibrariesAndSDKs/capsaicin
- Phoronix, “Cross-Vendor Mesh Shading Being Worked On For OpenGL”, 2025년 1월 7일, https://www.phoronix.com/news/OpenGL-GL_EXT_mesh_shader
- ACESCentral, 홈페이지, n.d., https://acescentral.com/
- AMD GPUOpen, “AMD Capsaicin Framework”, 2025년 2월, https://gpuopen.com/capsaicin/
- GamingOnLinux, “Vulkan API 1.4 released with new required extensions, better 8K rendering”, 2024년 12월 2일, https://www.gamingonlinux.com/2024/12/vulkan-api-14-released-with-new-required-extensions-better-8k-rende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