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게임산업 트렌드

News

6개 지역 주요 이슈 단신

지역별 주요 단신

[유럽/CIS] 소니, 영국과 유럽 대륙에서 PS5 디지털 에디션 가격 재인상

소니(Sony)가 영국, 유럽 대륙, 호주, 뉴질랜드에서 <플레이스테이션 5(PlayStation 5, 이하 PS5)> 가격을 재인상했다. 유로게이머(Eurogamer) 보도에 따르면, PS5 디지털 에디션은 영국에서 £40, 유럽에서 €50 인상되어 각각 £430와 €500에 판매될 예정이다. 소니는 이번 결정이 “높은 인플레이션과 변동하는 환율을 포함한 도전적인 경제 환경”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영국과 유럽에서는 디스크 에디션과 PS5 프로 모델의 가격 인상은 없으나, 호주와 뉴질랜드에서는 두 모델 모두 가격이 인상된다. 소니의 이전 가격 인상은 2022년 8월로, 당시 디지털 에디션을 £30(€50) 인상했다. 이번 인상으로 PS5 디지털 에디션은 출시 당시보다 총 £70(€100) 비싸졌다. 다만 소니는 별도 구매 디스크 드라이브 부품 가격을 £70(€80)로 소폭 인하했다.

£430로 인상된 PS5 디지털 에디션은 닌텐도의 차기 콘솔인 <스위치 2(Switch 2)> 마리오 카트 월드 번들과 동일한 가격대에 위치하게 되었다. 또한 영국 소매업체 아르고스(Argos)는 디스크 드라이브가 포함된 PS5 아스트로 봇 번들을 여전히 £430에 제공하고 있으며, EE에서는 아스트로 봇이 포함된 PS5 디지털 에디션을 소니의 임박한 가격 인상보다 £100 낮은 £329에 판매 중이다. 이번 가격 인상으로 인해 콘솔 시장의 경쟁 구도와 소비자 선택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차세대 게임 콘솔 간의 가격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미주] 트럼프의 보복 관세, PC는 면제되지만 게임 콘솔은 제외

트럼프 행정부의 보복 관세가 PC와 스마트폰은 면제하지만 게임 콘솔은 제외될 예정이다. 유로게이머(Eurogamer)의 보도에 따르면, 크리스 드링(Chris Dring)은 자신의 뉴스레터에서 <닌텐도 스위치 2(Nintendo Switch 2)>와 플레이스테이션, 엑스박스 하드웨어 모두 관세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확인했다. SSD와 PC에 적용된 면제가 의도적으로 콘솔에 적용되지 않았는지는 불분명하다. 다행히 닌텐도 스위치 카트리지는 145%의 추가 관세를 면할 전망이다. 닌텐도는 관세 위협에 대응해 올해 초 스위치 2 생산의 상당 부분을 베트남에서 미국으로 전환했으나, 베트남과 중국에 적용된 관세로 불확실성이 계속되고 있다. 니코 파트너스의 CEO 리사 핸슨(Lisa Hanson)은 “중국 소비자들이 미국 제품과 게임을 기피해 경제적 불확실성에 항의할 가능성이 있으며, 같은 상황이 베트남, 일본, 한국 등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미국 업계 단체 엔터테인먼트 소프트웨어 협회(Entertainment Software Association, 이하 ESA)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가 “게임산업 전체에 실질적이고 해로운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게임산업 마케팅 및 연구 기업 DFC 인텔리전스(DFC Intelligence)의 설립자 데이비드 콜(David Cole)은 닌텐도가 미국과 캐나다에서 예약 판매를 일시적으로 중단했음에도 불구하고 스위치 2의 출시 가격 $450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유로게이머에 밝혔다.

[중화권] 중국, 서비스 부문 개방 확대 계획 발표... 통신·데이터·게임산업 지원

중국 국무원 신문판공실이 서비스 부문 개방 확대를 위한 새로운 업무 계획을 소개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테크노드(TechNode) 2025년 4월 22일 보도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 부부장 링지(Ling Ji)는 이번 업무 계획에 앱 스토어와 인터넷 접속 서비스에 대한 외국인 소유권 제한 철폐 등 통신 부문의 여러 시범 조치가 포함되어 있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은 데이터 라벨링 산업 발전 장려, 데이터 거래 시장 시스템 개선, “데이터 아웃소싱 처리” 등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IP 창작부터 게임 개발, 퍼블리싱, 해외 운영에 이르는 전체 가치 사슬 촉진을 통해 중국 게임산업의 글로벌 확장을 지원할 계획이다.

중국 정부의 이러한 움직임은 서비스 부문, 특히 디지털 경제의 개방을 확대하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게임산업을 포함한 디지털 콘텐츠 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동안 엄격한 규제로 어려움을 겪었던 중국 게임산업에 새로운 성장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본] <어쌔신 크리드: 섀도우> 출시, '안티워크' 논란과 일본 정부 반응 불러와

유비소프트(Ubisoft)의 인기 프랜차이즈 최신작 <어쌔신 크리드: 섀도우(Assassin's Creed: Shadows)>가 긍정적 평가와 함께 출시되었으나, 흑인 사무라이 주인공과 LGBTQ 캐릭터 옵션으로 인해 '안티워크(Anti-woke)'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포브스(Forbes) 2025년 3월 21일 보도에 따르면, 이 게임은 메타크리틱에서 81%의 점수를 받았으며 출시 첫날 백만 명의 플레이어를 기록했다.

게임의 주요 플레이어블 캐릭터 중 하나인 야스케(Yasuke)는 실존했던 아프리카 출신 사무라이를 바탕으로 했으나, 일부 비평가들은 이 캐릭터가 일본의 역사적 진정성을 해친다고 주장했다. 또한 동성 관계를 포함한 로맨스 스토리라인 옵션도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이에 대해 공식 <어쌔신 크리드> X 계정은 "RPG 게임에서 연애는 항상 선택 사항"이라고 반박했다.

한편, 일본 정부는 게임 내에서 신사와 사원의 유물을 파괴할 수 있는 점에 우려를 표명했다. 일본 국회의원 카다 히로유키(Hiroyuki Kada)는 “게임에서 실제 장소를 허락 없이 공격하고 파괴하는 것이 실제 생활에서도 유사한 행동을 조장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대응해 유비소프트는 신사와 사원 내 테이블 등의 물체를 파괴할 수 없게 하고 피 효과를 줄이는 패치를 출시했다.

[중동] e스포츠 월드컵, 캡콤과 3년 파트너십 체결해 <스트리트 파이터> 생태계 통합

e스포츠 월드컵 재단(Esports World Cup Foundation, 이하 EWCF)과 캡콤(Capcom)이 다년간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 협약으로 캡콤의 캡콤 프로 투어와 스트리트 파이터 리그를 포함한 <스트리트 파이터> e스포츠 생태계가 향후 3년간 e스포츠 월드컵에 통합된다. EWCF의 최고 게임 책임자 파비안 슈어만은 “<스트리트 파이터>는 수십 년간 경쟁적 게임의 중심에 있었으며, 순수한 개인 기술의 시험장”이라고 언급했다.

이 협약에 따라 캡콤 프로 투어의 정점인 캡콤컵 11의 상위 8명과 일본, 미국, 유럽의 정상급 선수들이 참가하는 ‘스트리트 파이터 리그: 월드 챔피언십’의 12명이 EWC 2025 <스트리트 파이터 6> 결승에 직접 진출권을 얻게 된다. 추가로 10개 자리는 2025년 8월까지 진행되는 이보 재팬, 이보 베가스 등 캡콤 프로 투어 2025 이벤트 우승자들에게 주어진다. 나머지 자리는 전 세계 프로페셔널 및 풀뿌리 <스트리트 파이터 6> 이벤트 우승자들에게 배정되며, 최종적으로 48명의 선수가 리야드에서 열리는 <스트리트 파이터 6> 결승에서 경쟁하게 된다.

[동남아시아] 베트남, 국영 TV 참여로 e스포츠 산업 강화 나서

베트남의 e스포츠 산업이 전례 없는 성장세를 보이며 국영 TV의 참여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베트남 텔레비전 케이블(Vietnam Television Cable, 이하 VTVCab)의 ON 라이브 e스포츠(ON Live Esports, 이하 OLE)가 이 움직임을 주도하며 베트남 최고의 e스포츠 주최자, 배급사, 방송사로 급부상했다. 라이엇 게임즈(Riot Games), SOOP, VNGGames, 가레나(Garena), VIRESA 등 글로벌 업계 리더들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베트남은 세계적인 e스포츠 강국으로 떠오르고 있다.

많은 국가에서 e스포츠가 인정받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것과 달리, 베트남 정부는 디지털 경제 전략의 일환으로 e스포츠를 적극 지원하며 투자, 정책, 인프라를 가속화하고 있다. 이러한 지원에 힘입어 OLE는 2025년 베트남 최고의 <리그 오브 레전드> 토너먼트의 타이틀 스폰서가 되었으며, 이제 ‘ON 라이브 베트남 챔피언십 시리즈 2025’로 재브랜딩되어 TV 방송과 e스포츠 협력의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다. 또한 OLE는 가레나와 미디어 권리 파트너십을 체결하여 베트남의 전체 <아레나 오브 발러> 토너먼트 시스템의 공식 배급사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