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게임산업 트렌드

Issue Focus

차세대 휴대용 게임기 경쟁 현황 및 전망

글로벌 이슈 포커스

집필: EC21R&C 김형석 책임연구원

1. 하드웨어 & 전략

닌텐도 스위치 2의 검증된 하이브리드 전략의 계승과 진화

닌텐도는 2025년 차세대 휴대용 게임기 경쟁에서 철저히 보수적인 노선을 택했다. 스위치 2는 2017년 출시된 스위치의 성공 방정식을 그대로 계승하여, 하나의 기기로 TV 연결, 테이블탑, 휴대 모드 등 원 시스템, 3가지 플레이 모드를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컨셉을 유지했다. 7.9인치로 커진 LCD 터치 스크린은 HDR 및 최대 120Hz 주사율을 지원하고, 도킹 시에는 4K 출력까지 가능해져 전작 대비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다. 저장 공간도 256GB로 대폭 늘렸으며, Joy-Con 2 컨트롤러는 자석식 부착 방식으로 개선되어 편의성이 높아졌다. 특히 Joy-Con 2에 신규 탑재된 C 버튼을 누르면 게임 중 언제든지 보이스챗이나 영상통화를 할 수 있는 게임챗 기능이 도입되어, 그동안 스마트폰 앱에 의존해야 했던 음성 채팅의 불편함을 해소했다.

이러한 개선에도 스위치 2의 기본 플랫폼 철학은 변하지 않았다. 기존 스위치 게임 카트리지를 그대로 지원하여 물리/디지털 게임의 하위호환을 제공하고, 닌텐도 특유의 독점 IP 게임들을 내세워 콘텐츠 경쟁력을 강화하는 전략이다. 닌텐도 아메리카 사장 더그 바우저는 “스위치 2의 가격은 제공하는 엔터테인먼트 경험과 기기 수명을 고려해 책정됐다”고 밝혔는데, 실제 미국 출시가는 $449.99로 책정되었다. 스위치 OLED 모델이 $349.99였던 점을 감안하면 합리적인 수준이며, 기존 스위치와 병행 판매를 고려한 가격 정책으로 보인다.

<표> 닌텐도 스위치 2 주요 개선 사항 및 특징
출처 : Walmart, Kbench, Inven 내용 종합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생태계 휴대용 확장 도전

마이크로소프트는 전혀 다른 경로로 휴대용 게임 시장에 진입하고 있다. 2025년 연말 출시 예정인 ROG Xbox Ally와 고성능 모델 ROG Xbox Ally X는 ASUS와의 협력을 통해 탄생한 윈도우 기반 휴대용 게임기로, Xbox의 파워와 Windows의 자유로움을 결합한 새로운 카테고리의 디바이스다. 해당 기기는 겉보기엔 휴대용 콘솔처럼 보이지만, 내부에는 Windows 11 운영체제가 구동되어 일반 PC 게임을 그대로 플레이할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스팀 덱으로 촉발된 PC 휴대용 게임기 열풍에 대응하여 윈도우 환경을 핸드헬드에 최적화하는 작업을 진행해왔고, 그 결정체가 바로 Xbox Ally 시리즈다. Xbox 게임패스, 클라우드 게이밍, Xbox 리모트 플레이 등 Xbox 생태계의 모든 서비스를 이 휴대용 한 대에서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Steam이나 배틀넷, 에픽게임즈 스토어 등 타 플랫폼에서 구입한 PC 게임 라이브러리까지 통합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 혁신적이다.

하드웨어 측면에서도 ROG Ally 시리즈는 강력하다. 기본 모델 Ally는 4코어 AMD Z2 APU, 16GB RAM을 탑재하고, 상위 모델 Ally X는 8코어 Ryzen Z2 AI Extreme 프로세서와 24GB RAM, 더 큰 배터리를 장착하여 최상급 휴대용 성능을 제공한다. 두 모델 모두 7인치 1080p 120Hz 디스플레이와 최신 RDNA3 기반 그래픽을 채택해 휴대용으로서 뛰어난 화질과 부드러운 프레임을 구현한다. 이러한 스펙 때문에 가격대는 스위치 2보다 높게 책정될 전망이다. 유럽 유출 정보에 따르면 Xbox Ally 기본형이 599유로, Ally X는 899유로 수준으로, ASUS가 기존 출시한 ROG Ally(2023)와 유사한 가격 책정을 따를 것이라고 한다. 마이크로소프트 입장에서는 다소 비싼 하드웨어를 팔더라도 Xbox 게임 구독 서비스 확대와 윈도우 플랫폼 영향력 강화라는 장기적 이득을 노리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표> Xbox Ally 시리즈 하드웨어 스펙 비교
출처 : Xbox News, Gamesradar, The Verge 내용 종합

2. 생태계 & 콘텐츠

독점 IP의 제왕 vs 방대한 서드파티 라이브러리

이번 ROG Xbox Ally 시리즈 출시는 하드웨어 성능 경쟁을 뛰어넘어 플랫폼 생태계의 경쟁이기도 하다. 게임 라이브러리 측면에서 보면, 닌텐도 스위치 2는 마리오, 젤다, 포켓몬 등 막강한 독점 IP를 내세워 팬덤을 사로잡고 있다. 이러한 일류 퍼스트파티 게임들은 경쟁사가 쉽게 복제할 수 없는 닌텐도만의 자산으로, 하드웨어 스펙이 다소 낮더라도 사용자를 끌어들이는 원동력이다. 반면 Xbox Ally는 방대한 서드파티 PC 게임 풀을 무기로 삼고 있다. Steam, 에픽, 유플레이, 배틀넷 등 사실상 모든 PC 게임 플랫폼의 콘텐츠를 지원하므로, 게임 수에서는 절대적으로 우위다. 가령 한국 이용자 친화적인 예를 들면, Xbox Ally에서는 스팀으로 구매한 국산 PC 게임이나 온라인게임을 그대로 실행할 수 있지만, 스위치 2에서는 닌텐도가 엄선하여 포팅한 작품만 즐길 수 있다.

다만 스위치 진영도 최근 인디게임이나 서드파티 지원을 늘리고 있고, 주요 타이틀을 클라우드 방식으로 이식하는 등 외연 확장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럼에도 플랫폼 폐쇄성 면에서 닌텐도와 마이크로소프트의 접근법에는 큰 차이가 있다. 닌텐도는 철저히 독점 IP 콘텐츠(마리오, 젤다 등)의 힘과 가정용/휴대용 겸용 하드웨어의 편의성에 집중하는 보수적 노선을 택했다. 예를 들어, 스위치 온라인 서비스는 클래식 게임 제공과 기본 멀티플레이 지원에 머물러 있고, 마이크로소프트의 게임패스와 같은 폭넓은 구독형 서비스나 클라우드 스트리밍에는 소극적이다. 결과적으로 소비자 입장에서는 “어떤 게임 생태계에 접속하기를 원하느냐”가 기기 선택의 핵심이 될 전망이다.

<표> 플랫폼별 게임 라이브러리 및 서비스 모델 비교
출처 : Inven, Tom's Guide, Xbox Developer 내용 종합

게임패스 구독 모델 vs 닌텐도 전통 판매 방식

클라우드 및 온라인 서비스 경쟁도 중요한 관전 포인트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미 Xbox 클라우드 게이밍(xCloud) 서비스를 전세계적으로 전개하며, Ally 같은 휴대용 기기와의 시너지를 추구하고 있다. 네트워크만 원활하다면 고사양 게임을 기기 성능과 관계없이 스트리밍 플레이할 수 있고, 기기에서 저장한 게임 상태를 콘솔이나 PC에서 이어할 수도 있다. 한국처럼 5G 인프라가 잘 구축된 시장에서는 이러한 클라우드 플레이가 현실적인 사용 사례가 될 수 있다. 반면 닌텐도는 자체 클라우드 서비스가 미흡하여, 일부 서드파티 게임에 한정된 클라우드 버전을 허용하는 수준에 그친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는 Xbox Game Pass를 통해 월 구독료만으로 수백 종의 게임을 제공하는 구독형 모델을 주도하고 있는데, 스위치 진영의 온라인 서비스는 주로 레트로 게임 제공과 온라인 멀티플레이 지원에 집중되어 둘 사이 비즈니스 모델에도 차이가 크다.

Microsoft Gaming의 사라 본드 부사장에 따르면 이번 제품은 Xbox 플랫폼 확장의 핵심이며 “Xbox는 어디서든 당신과 함께 성장할 것”이라 소개했는데, 이는 더 이상 Xbox를 거실에 묶어두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즐기는 서비스로 진화시키겠다는 강한 의지를 반영한다. 과거 Xbox의 휴대용 진출 시도가 (코드명 Xboy 프로젝트) 닌텐도 Game Boy와의 경쟁 부담으로 무산된 바 있지만, 이제는 콘솔 시장 성장 정체와 윈도우 휴대용 PC 수요 증가라는 흐름이 맞물려 마이크로소프트를 이 시장으로 끌어들였다. Xbox Ally 시리즈는 Xbox의 정통 경험을 휴대용으로 계승하면서도, PC의 모드 지원이나 커뮤니티 툴(Discord, 모드 적용 등)까지 모두 활용할 수 있어 플레이어 주도적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강점이다.

폐쇄형 vs 개방형, 멀티플랫폼 시대 개발자들의 선택은?

개발자 지원 및 퍼블리싱 전략에도 두 플랫폼의 방향성이 드러난다. 닌텐도는 과거부터 자사 기기에 대한 개발 문턱이 높고 폐쇄적이라는 평이 있었지만, 스위치 시기부터는 인디 개발자 지원을 강화하고 개발 용이성을 개선해왔다. 그럼에도 여전히 닌텐도 플랫폼용 게임은 별도 포팅 작업과 닌텐도의 심사를 거쳐야 하므로 진입 장벽이 존재한다. 반면 Xbox Ally의 등장은 개발자들에게 윈도우-콘솔-휴대용을 아우르는 통합 Xbox 생태계를 제시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사상 처음으로, 게임 개발자가 콘솔·PC·휴대용을 아우르는 우리 게임 생태계를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고 강조하며, 크로스플레이와 플레이 애니웨어와 같은 시스템 연계를 독려한다. 실제로 Xbox Ally용 개발자 리소스 허브에서는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최적 성능과 UX를 내는 법, 게임 UI를 컨트롤러 조작에 맞게 구성하는 가이드 등이 제공되고 있어, 개발사들이 손쉽게 자사 게임을 휴대용 환경에 대응하도록 돕고 있다.

다시 말해, 마이크로소프트는 한 번 개발하여 콘솔·PC·휴대용에서 모두 즐길 수 있는 이상적인 멀티플랫폼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개발자들의 지지를 확보하려는 전략이다. 이러한 지원은 한국의 게임 개발사들에게도 기회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C 온라인 게임을 만들어온 업체들은 추가적인 콘솔용 포팅보다, 동일한 윈도우 기반의 Xbox 휴대기에 최적화 패치 정도를 통해 손쉽게 플랫폼 확장을 모색할 수 있다. 이는 추후 한국 게임들이 자연스럽게 Xbox Game Pass나 윈도우 스토어를 통해 글로벌 유통되는 통로로 활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 마디로, 개방형 생태계 위에 Xbox라는 사용자 경험(UI/UX)을 입힌 신개념 휴대용 게임기로서, 기존 닌텐도 중심의 휴대용 패러다임에 균열을 내고 있다.

<그림> ROG Xbox Ally와 닌텐도 스위치 2 이미지
출처: Microsoft, Nintendo 홈페이지

3. 향후 시장 변화와 한국 개발사의 대응 방향

플랫폼 다변화를 통한 모바일 중심 시장 구조 탈피 기회

글로벌 휴대용 콘솔 경쟁의 격화는 한국 게임산업에도 적지 않은 파급효과를 미치게 된다. 우선 플랫폼 다변화 측면에서, 모바일 일변도의 국내 게임 시장에 콘솔·PC 휴대용 플랫폼의 비중 증가가 예상된다. 실제로 2023년 국내 게임 시장 매출 중 콘솔 게임 비중은 약 4.9%로 크지 않았으나, 2024년에 들어 이용자 저변이 확대되어 콘솔 이용자가 전체 게이머의 26.7%에 달하는 등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다. 정부와 업계도 이러한 추세를 인지하여 한국콘텐츠진흥원을 통한 콘솔 게임 개발 지원을 확대하는 등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2025년에는 주요 개발사들이 글로벌 공략을 위해 콘솔 및 PC 플랫폼 강화를 핵심 키워드로 삼고 있어, 스위치 2와 Xbox Ally로 대표되는 새로운 플랫폼들을 활용한 사업 전략이 활발해질 전망이다.

예컨대, 대형 MMORPG로 세계적 성공을 거둔 크래프톤이나 NC소프트 등이 자사 IP를 콘솔로 확장하려는 시도를 가속화할 수 있고, 인디 게임 개발자들도 스팀을 통해 검증된 작품을 스위치나 Xbox 휴대기로 이식해 수익 다변화를 꾀할 수 있다. 실제 사례로, 국내 인디 게임 <라핀(LAPIN)>은 스팀에서 호평을 받은 이후 닌텐도 스위치 패키지판으로 발매되어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한 바 있다. 앞으로 닌텐도 스위치 2의 보급이 확대되면 이런 국산 게임들의 콘솔 진출이 더욱 늘어나고, 한국어 지원 및 현지화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PC 온라인 게임 자산 활용한 Xbox 휴대용 플랫폼 진출 전략

또한 마이크로소프트의 Xbox Ally 진출은 한국 개발사의 PC 게임 자산을 활용한 글로벌 진출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한다. 한국은 강력한 PC 온라인 게임 강국으로서 다수의 인기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는데, Xbox Ally와 같은 윈도우 기반 휴대용 기기에서는 별도의 이식 없이 이러한 게임들을 즐길 수 있다. 이는 한국 게임들이 자연스럽게 모바일화되는 효과를 내, 언제 어디서나 플레이 가능한 형태로 글로벌 유저층에 다가갈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가령 한국에서 인기인 메이플스토리나 로스트아크 같은 게임도 Xbox Ally 사용자라면 휴대용으로 더욱 쾌적하게 플레이가 가능해지며, 이는 해당 게임들의 수명을 연장하고 사용자층을 넓히는 긍정적 효과를 낼 수 있다. 더불어 MS의 게임패스를 통한 프로모션 기회도 주목된다.

이미 몇몇 한국 게임들은 Xbox 게임패스에 입점하여 해외 유저를 확보한 사례가 있는데, 향후 Xbox Ally 이용자가 증가하면 게임패스에 한국 게임을 공급하려는 움직임도 활발해질 것이다. 이는 국내 개발사들에게 추가적인 수익 및 홍보 경로가 될 뿐 아니라, 한국 게임의 글로벌 인지도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 하드웨어 산업과 부품 공급망에도 영향이 예상된다. 닌텐도 스위치 2의 성공은 부품을 공급하는 한국 업체들의 매출로도 직결된다. 예를 들어 스위치 2에 채택된 반도체 일부를 삼성전자 파운드리가 생산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스위치 2의 흥행이 삼성 등 국내 부품사의 수익으로 이어질 것이란 전망도 있다. 따라서 글로벌 휴대용 콘솔 경쟁의 격화는 국내 게임 콘텐츠 업계뿐 아니라 전자부품, 통신, 서비스 산업 전반에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 Nintendo Co., Ltd., “Nintendo Switch 2 launches 5th June, bringing new forms of game communication to life”, 2025년 4월 2일, https://www.nintendo.com
  • The Verge, “The Nintendo Switch 2 arrives on June 5th for $449.99”, 2025년 4월 2일, https://www.theverge.com/news/634603/nintendo-switch-2-price-release-date-details
  • GamesRadar, “Everything we know about Nintendo Switch 2”, 2025년 6월 14일, https://www.gamesradar.com/nintendo-switch-2-guide
  • Kbench, “닌텐도 스위치2 일부 모델 이더넷, 디스플레이 포트 지원 '독 드리프트' 논란?”, 2025년 3월 24일, https://kbench.com/?q=node/265865#:~:text=%27%EB%8B%8C%ED%85%90%EB%8F%84%20%EC%8A%A4%EC%9C%84%EC%B9%982%27%20%EC%9D%BC%EB%B6%80%20%EB%AA%A8%EB%8D%B8%20%EC%9D%B4%EB%8D%94%EB%84%B7,%EB%93%9C%EB%A6%AC%ED%94%84%ED%8A%B8%27%20%EB%85%BC%EB%9E%80%3F%20%20%2030
  • Inven, “MS·ASUS 휴대용 게임기 ‘ROG Ally X’... 엑박 진영의 미래 시그널 될까”, 2025년 4월 8일, https://www.inven.co.kr/webzine/news/?news=304669#:~:text=%EC%B5%9C%EA%B7%BC%20%EB%AF%B8%EA%B5%AD%EC%9D%98%20IT%20%EC%A0%84%EB%AC%B8%20%EB%AF%B8%EB%94%94%EC%96%B4,%EA%B3%A0%20%EB%B0%9D%ED%98%94%EB%8B%A4
  • Tom’s Guide, “ROG Xbox Ally: Everything we know about the two new gaming handhelds from Microsoft and Asus”, 2025년 7월 31일, https://www.tomsguide.com/gaming/handheld-gaming/rog-xbox-ally-everything-we-know-about-the-two-new-gaming-handhelds-from-microsoft-and-asus
  • Xbox News, “Xbox & Windows Worked ‘As One Development Team’ to make the ROG Xbox Ally”, 2025년 6월 11일, https://www.purexbox.com/news/2025/06/xbox-and-windows-worked-as-one-development-team-to-make-the-rog-xbox-ally
  • Xbox Developer, “New Xbox Dev Kit certified in South Korea”, 2024년 3월 19일, https://www.windowscentral.com/gaming/xbox-dev-kit-certified-south-korea-could-this-be-xbox-pro
  • Walmart, “Nintendo Switch 2 consoles now available”, 2025년 6월, https://www.walmart.com/search?q=nintendo+switch+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