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콘텐츠지식

KOCCA 포커스

[KOCCA포커스 통권 156호] K-애니메이션산업 재도약 전략
  • 분야일반
  • 장르일반
  • 등록일2023-09-05
  • 조회2299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 가능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창작한 저작권 통계 이용 활성화를 위한 통계 컨설팅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한국콘텐츠진흥원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로고) | KOCCA FOCUS | K-애니메이션산업 재도약 전략 | 김희숙 한국콘텐츠진흥원 산업정보팀 수석연구원

Summary | focus | K-애니메이션산업 재도약 전략 | 통권 156호 | ·K-애니메이션산업은 OTT 플랫폼과 콘텐츠 수요의 양적 확대로 K-드라마와 더불어 성장 가능성이 높은 산업이며 3D 유아동 콘텐츠의 제작 경쟁력과 웹툰/게임 등의 지식재산(IP) 확장성으로 연관산업의 성장을 촉진하는 창의 산업임. | · 세계 애니메이션 시장은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도 불구하고 미국, 일본, 중국 주도의 콘텐츠 생산과 서비스로 지속 성장하고 있으며 한국은 영국과 프랑스 다음으로 세계 6위의 시장 규모임. | · 코로나 팬데믹 이후의 K-애니메이션산업 환경변화 – (미디어환경) 인터넷 동영상서비스 플랫폼(OTT/유튜브 등) 중심으로 미디어시장이 재편되면서 플랫폼 간의 서비스 경쟁이 심화되고 TV와 극장의 위기 상황은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음. – (창작환경) 검증된 스토리와 팬덤 기반 콘텐츠 IP를 활용한 15+ 선호 콘텐츠, 숏폼, 단편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 창·제작이 주목받고 있음. – (제작기술) 디지털 2D, 3D 제작 툴, 게임엔진, 생성형 AI를 활용한 가성비 높은 제작기술 도입과 활용 연구가 확대되고 있음. – (제작투자) K-웹툰과 애니메이션의 시너지와 성과 창출 기대감으로 국내 창제작사, 웹툰 플랫폼사의 해외투자 유치, 현지 공동제작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음. – (소비환경)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이용경험이 높고 유아동 애니메이션을 보고자란 MZ세대가 경제력을 지닌 OTT 서비스 주 이용자로 성장하면서 시장 규모가 커질 수 있는 산업환경이 조성되었음. | · K-애니메이션산업 진단 – (강점/기회요인) 영유아용 IP 성공 경험, 2D/3D 콘텐츠 제작 기술 역량 축적, OTT 서비스 확대, 유아동 애니 시청층이 주요 소비층으로 성장하면서 시장 확대 가능성 증가, K-콘텐츠에 대한 국제적 관심도 증가 – (약점/위협요인) 애니메이션 콘텐츠 다양성 부족, 기업 경쟁력과 산업기반 약화, 창작 전문인력 부족, 안정적 수익모델 부족, 민간투자 소극적이고 글로벌 시장 경쟁 심화 | · K-애니메이션산업 전망 – (서비스경쟁 가속화) OTT 플랫폼의 영향력 확대, 미국과 일본 기업의 웰 메이드 콘텐츠 생산을 위한 전략적 투자로 플랫폼 서비스 경쟁 가속화와 이에 따른 콘텐츠 수요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15+ 콘텐츠 제작) OTT 서비스용 청장년층 애니메이션 콘텐츠의 창·제작과 투자에 더욱 집중할 것으로 예측됨. – (제작방식 고도화) 제작 기간을 줄이면서 완성도 높은 콘텐츠 제작을 위해 게임엔진 및 생성형 AI 사용, 전문 기획 프로듀서 시스템 도입 확대 등 가성비를 높일 수 있는 고도화된 제작시스템 도입이 점차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 (공동제작/투자 확대) 글로벌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국내기업이 자사의 검증된 K-웹툰/웹소설 IP를 활용한 해외 기업과의 공동제작·협력 시도는 지속될 것으로 예측됨. | · K-애니메이션산업 성장을 위한 제언 – OTT 서비스용 청장년층 콘텐츠, 스토리 완성도 높은 3D 애니메이션 제작, 다수의 애니메이션 창·제작 환경 조성 등 다양한 콘텐츠 생산을 위한 정책지원, 예산 확대가 필요함. – 전문성과 경험을 보유한 기획 프로듀서, 신기술 제작 전문인력, 스토리 기반 강화를 위한 애니 전문작가 육성이 필요함. – 공공 및 민간투자 프로그램 재구성, 서비스 플랫폼사와 공동제작 활성화, 마중물 역할 강화를 위한 지원제도 개선 등 실효적 투자/금융지원 프로그램으로 개선이 필요함. – 기획 프로듀싱에 의한 고도화된 제작시스템 확산, 유통 다변화에 필요한 국내외 비즈니스 지원프로그램 확대가 필요함.

※ 자세한 내용은 첨부(PDF)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