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콘텐츠지식

KOCCA 포커스

[KOCCA포커스 통권 160호] 방송 제작인력 노동시간 진단과 시사점
  • 분야일반
  • 장르일반
  • 등록일2024-03-18
  • 조회516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 가능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창작한 저작권 통계 이용 활성화를 위한 통계 컨설팅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한국콘텐츠진흥원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로고) | KOCCA FOCUS | 방송 제작인력 노동시간 진단과 시사점 | 오현주 한국콘텐츠진흥원 산업정책팀 책임연구원 이용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 정윤경 순천향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유인찬 티브릿지코퍼레이션 이사 김재원 세종교육원 책임연구원

Summary | focus | 방송 제작인력 노동시간 진단과 시사점 | 통권 160호 | · (노동시간 재진단 필요성) 방송제작 현장 종사자들은 장르별 특성에 따른 장시간 근로뿐만 아니라 필요시 야간 및 밤샘 노동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제공한 노동에 대한 정당한 권리도 보장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임 | · 주52시간제 등 제도적인 방안이 마련되고 있음에도 방송제작 현장은 다양한 직종이 존재하며 업무에 따른 근무 시간도 동일하지 않은 구조 때문에 방송 제작인력의 근로시간 관리는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움 | · (방송 제작인력 노동시간 실태 파악) 2023년 10월 기준, 최근 1년간 3개월 이상 방송 제작 참여 경험이 있는 인력 1,204명(장르별 및 직군별 할당) 대상으로 노동시간 관련 계약 및 합의 여부 질문을 통해 인력을 노동시간 합의/미합의 인력으로 구분함. 노동시간 9가지 유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 후 노동 일수와 시간, 노동시간 대가 및 휴게시간 활동 등을 파악하는 조사 실시 | · (주요 내용) – (노동시간 합의 여부) 계약서 명시 또는 구두 합의 등 노동시간 합의를 통해 일하는 인력은 40.6% · (노동시간 합의 인력) 노동시간 유형별 노동시간 재산정 결과, 주당 평균 노동시간은 2.1시간 증가 · (노동시간 미합의 인력) 노동시간 유형별 노동시간 재산정 결과, 주당 평균 노동시간은 4.0시간 증가 – (장시간 노동 현황) 방송 제작인력 중 주당 노동시간 52시간 초과자 비중은 40.8% ▲직군에서는 기획, ▲장르에서는 예능이 장시간 노동자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남 – (추가 노동시간 보상 지급) 노동시간 합의 인력은 73.8%, 미합의 인력은 10.7% 경험 비중을 보임 – (휴게시간 활동 경험) 합의자는 휴게시간과 대기시간 구분, 휴게시간을 위한 별도 휴게시설 설치에 대한 긍정 비중이 미합의자에 비해 높게 나타남 | · (시사점) – 방송 제작인력 노동시간 문제는 노동시장에서의 공정한 계약 및 정당한 권리와 연계되어 있음 – 장시간 노동 및 추가 노동시간에 대한 대가를 지급받을 가능성 향상과 정당한 휴게시간 보장을 위해서는 업무 관련 노동시간 등에 대한 합의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함

※ 자세한 내용은 첨부(PDF)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