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고 제2023-1089호]
2023. 09. 27.
1. 공시목적
2. 기획대상과제(주제)
사업명 | 연번 | 기획대상과제(주제) |
---|---|---|
문화기술 연구개발 콘텐츠 문화예술 |
1 | 신기술융합콘텐츠 기반 미래 모빌리티 내 탑승자 UX 기술개발 |
▷ 미래 모빌리티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차량에 탑재되어 사용자에게 영화, 광고, 음악, 게임 등 다양한 장르와 기술(VR/AR)의 콘텐츠가 제공되는 EV 인터랙티브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니즈 반영 UX 기술 | ||
2 | 인공지능 활용 실시간 방송 콘텐츠 제작 및 서비스 기술개발 | |
▷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메타버스 다자참여 실시간 디지털휴먼 기술, 가상 방송 이벤트 제작기술, 방송 콘텐츠 분석, 메타데이터 자동생성, 영상 검색 및 요약/숏클립 영상 제작 등의 미래 방송 콘텐츠 제작 및 서비스 기술 | ||
3 | AI 기술 활용 초실감 4D 볼류메트릭 콘텐츠 제작 기술개발 | |
▷ 생성형 AI 기술을 이용하여 카메라로 캡처되지 않은 영역을 생성하고 적은 수의 카메라 영상으로 4D 볼류메트릭 콘텐츠를 생성하여, 이동 현장에서도 고정밀 동기화 없이도 시계열 볼류메트릭 캡처 품질을 높이는 기술 | ||
4 | 생성형 AI 활용 버추얼 프로덕션용 멀티 로보틱스 촬영 플랫폼 기술개발 | |
▷ 로봇 제어 기술을 통한 영상 촬영 현장의 자동화, 확장성 및 카메라 워킹의 고도화와 생성형 AI를 활용한 버추얼 프로덕션 플랫폼 기술 | ||
5 | 생성형 AI 기반 감성상호작용이 가능한 극사실적 디지털 휴먼 자동 생성 및 편집 기술개발 | |
▷ 생성형 AI를 활용한 디지털 휴먼의 볼류메트릭 텍스처 생성, 품질 향상 및 편집 기술 | ||
6 | 인공지능 기반 실감 음향 자동 생성 기술개발 | |
▷ 음원 저작 시스템의 영상 음원 융합을 위한 멀티모달 인공지능 기술 및 영상 장면과 일치시켜 실감콘텐츠를 생성시킬 수 있는 실감 사운드 자동생성 기술 | ||
7 | AI 활용 사실적 모듈형 3D 애셋 자동 생성 및 플랫폼 기술개발 | |
▷ 실사 촬영을 통한 가상공간 및 애셋 자동 생성으로, 모듈 단위 3D 애셋 검색에 기반한 모듈 단위 디테일 변형이 가능한 사실적 모듈형 3D 애셋 자동 생성 기술 | ||
8 | 제어 가능 강화학습 기반 인공지능 게임 콘텐츠 자동생성 기술개발 | |
▷ 온라인 게임 환경에서의 사용자 적응형 인공지능 플레이어 및 콘텐츠 생성을 위한 다중 에이전트 강화학습 기반 게임 AI 기술 | ||
9 | 대규모 게임 운영 검증 자동화를 위한 지능형 서비스 분석 플랫폼 기술개발 | |
▷ 대규모 게임 공간 내의 무결성 자동 탐색과 실시간 인게임 현황 분석 및 업데이트 최적화를 위한 인공지능 플랫폼 및 모니터링 기술 | ||
10 | 실-가상공간에서의 인공지능 기반 e스포츠 서비스 자동화 플랫폼 기술개발 | |
▷ 실시간으로 경기 상황을 인식하여 시각화하며,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자동 내레이션 생성 및 게임 플레이 데이터 분석 기술 및 서비스 | ||
11 | AI 기반 K-pop 댄스 퍼포먼스 생성·저작 및 가상공간 구축 기술개발 | |
▷ AI를 이용한 K-pop 댄스 퍼포먼스를 위한 가상공간의 구축과 K-pop 댄스 안무의 생성 및 저작 기술 | ||
12 | 인공지능 기반 스토리텔링 자동 창작 기술개발 | |
▷ 멀티모달 지식 그래프 기반 스토리텔링 콘텐츠 분석기술을 통한 검색 서비스 및 스토리텔링 자동 창작 기술 | ||
13 | 인공지능 기반 출판 콘텐츠 창작 및 활용 기술개발 | |
▷ 혼합현실 응용 도서 출판에 활용 가능한 표준화된 3D 애셋 데이터 축적 기술 및 지능형 저작 플랫폼을 개발하며, AI 기반 출판 콘텐츠 큐레이션을 통한 콘텐츠 분석, 편집 관리 기술 | ||
14 | 생성형 AI 기반 초고해상도 영상 확장 및 K-공연 콘텐츠 제작 플랫폼 기술 개발 | |
▷ AI 기술을 활용하여 8K/16K 초고해상도 고품질 영상을 용이하게 제작하고 콘텐츠 IP DB 구축 및 K-pop, 전통예술 등의 콘텐츠를 서비스할 수 있는 플랫폼 구축 | ||
15 | 공연/전시 애셋 공유 기반 공연 환경 구성 최적화 기술 개발 | |
▷ 공연 애셋(모델링 리소스, 조명, 디스플레이 패널 등)을 저장/공유하여 연출자가 의도한 공연(뮤지컬, 전통 공연 등) 장면을 가상 프로덕션으로 재현 후, AI기반 애셋 제어로 공연 장면의 신속한 제작 및 최적화를 통한 실공연에 직접 적용하는 고품질의 공연 환경 구성 기술 개발 | ||
16 | 전통예술 기반 첨단기술 활용 융복합 공연콘텐츠 기획·제작 플랫폼 개발 및 실증 | |
▷ 표준화된 악보 및 모션 데이터 기록으로 국악 및 전통무용 원형의 전승과 한국문화 체험 및 다양한 콘텐츠 제작에 활용을 위한 전통공연예술 콘텐츠(국악, 민요, 농악, 무용)의 표준화된 디지털 전환 및 현대식 전통 융복합 공연 기반 기술 개발 | ||
17 | 인공지능 기반 비정형 예술작품 데이터 획득 및 가치평가 지원 기술 개발 | |
▷ 예술작품 고차원 데이터 획득‧관리, 분석 환경 구축, 예술작품 물납제 대응 가치 평가 기술 개발, 예술작품의 투명한 유통 체계 기반 마련을 위한 회화, 공예품 등의 예술작품의 비정형 고차원 데이터를 다중 센서 기반으로 획득/관리하고, 인문, 과학, 안목 정보를 통합 분석하는 예술작품 가치평가 기술 개발 | ||
18 | NLP기반 디지털 공간 자동 생성 및 사용자 상호작용 가능한 지능형 에디터 개발 | |
▷ 1인 미디어 콘텐츠 자동 생성, AI 기반 일반인 콘텐츠 저작 지원, 미디어 및 디자인 업계에 풍부한 제작 리소스 제공을 위한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NLP 기반으로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여 가상공간, BGM, 이미지, 영상 등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기술 및 지능형 에디터 구현 기술 | ||
19 | 문화유산 고품질 복원 및 실감 체험을 위한 서브-마이크로급 분해능의 광학 기술 및 시제품 개발 | |
▷ 미세구조를 가지는 문화유산의 원형 보존 및 고품질 실감 체험을 위한 빛반사, 투과, 흡수, 표면결함 등에 강인한 서브-마이크로급 분해능을 가지는 초고해상도 고정밀 분석 및 천연색 재현 광학/조명 기술 및 시제품 개발 | ||
20 | 자유로운 언어생활에 기반한 글쓰기/대화 표현 자가 진단 및 교정 인공지능 기술 개발 | |
▷ 디지털 매체 등 다양한 언어 사용 환경에서 국어 능력 향상을 지원하고, 디지털 트윈이나 게임과 같은 가상환경 내에 설정된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자와의 대화를 통해 글쓰기/대화 역량을 자동으로 진단하여, 올바른 글쓰기/대화로 교정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 | ||
21 |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을 활용한 멀티모달 외신 데이터 분석 및 활용 기술 개발 | |
▷ 정책의제 발굴, 해외 홍보전략 수립, 맞춤형 보고서 작성ㆍ활용을 위한 동영상, 이미지, 음성 등 다양한 형태의 외신 데이터를 분석하여 특정 이슈에 대한 정확한 의도 분석, 가짜뉴스 판별, 고품질 보고서 생성 등을 수행하는 설명가능한 인공지능 기반 분석 및 활용 기술 개발 | ||
22 | 디지털 소외계층의 기술 접근성 향상을 위한 생성형 AI 기반 콘텐츠 창·저작 플랫폼 기술개발 | |
▷ 디지털 소외계층에 사용자 친화형 인터페이스와 맞춤형 저작 어시스턴트 기술을 포함한 생성형 AI 기반 콘텐츠 생성, 변환 및 공유 등을 제공하는 기술 | ||
23 | 게임 기반 몰입형 다중감각 자극 디지털 치료 콘텐츠 기술개발 | |
▷ 정신질환, 노화성 질병 등 치료 및 재활 효과 증진을 위해 다중 감각을 자극하여 치료하는 게임 기반 디지털 치료 기술 | ||
24 | 장애인 문화콘텐츠 접근성 향상을 위한 베리어프리 XR 기술개발 | |
▷ 신체능력 저하로 체험하기 어려운 장애인의 문화콘텐츠 접근성 향상을 위한 XR 기술 | ||
25 | 도서관 이용자 분석 및 데이터화 기술개발 | |
▷ 도서관 내 이용자의 동선 및 선호 도서에 따른 데이터 습득 및 분석 기술개발을 통한 맞춤형 도서 큐레이션 제공 | ||
26 | 야외 문화유산에 대한 문화취약계층 맞춤형 컨시어지 및 감시 관리 서비스 기술 개발 | |
▷ 역사적ㆍ학술적 가치가 높으나 비용, 운영‧관리인력 등 한계로 관리가 취약한 야외 문화유산을 비전 AI와 자율주행 로봇 기술 등을 조합하여 관리하고, 도슨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맞춤형 컨시어지 및 감시 관리 서비스 기술 개발 | ||
27 | 문화유산 보존·활용을 위한 생성형 AI 기반 K-헤리티지 아카이브 구축 및 OSMU 서비스 플랫폼 기술 개발 | |
▷ 고품질 디지털 K-헤리티지 제작에 생성형 AI 기술을 접목하여, 사용자가 쉽고 빠르게 자신만의 K-헤리티지 콘텐츠를 생성하고 다양한 콘텐츠 플랫폼에 OSMU(One-source Multi-use) 서비스 가능한 기술개발 | ||
28 | 다감각 상태정보 기반 아바타 멀티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실가상 연동 맞춤형 K-컬처 체험 서비스 기술 개발 | |
▷ 가상공간에서 카메라 기반으로 제스처와 생체신호 등 다감각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아바타 기반으로 실시간 문화체험, 한국어 교육 등의 맞춤형 문화서비스를 체험하는 K-컬처 서비스 플랫폼 개발 | ||
29 | 생성형 AI 웹툰 창·제작 기술개발 | |
▷ 언어 생성 모델 (GPT) 및 이미지 생성 기반 웹툰 자동 생성 기술개발을 통한 다양한 형태의 저작 도구 기술 | ||
30 | 생성형 AI 활용 애니메이션 제작 및 서비스 기술개발 | |
▷ 생성형 AI 기술 기반 검증된 웹툰 IP를 유지하며 애니메이션을 자동 제작할 수 있는 효과적 시스템 구축 | ||
31 | 인공지능 기반 XR 사용자 행동 분석 및 생성 기술개발 | |
▷ XR 콘텐츠 생성을 위한 다기종의 혼합 구성을 통하여 현실감을 높이며,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한 XR 콘텐츠 사용자 경험(UX) 모델을 바탕으로 한 사용자 행동 데이터 분석 결과 기반 맞춤 콘텐츠 생성, 재구축, 품질검수 및 통합 관리 플랫폼 기술 | ||
32 | 몰입도 높은 현장감 제시 및 다중 극 진행 연출이 가능한 실가상 연동 뮤지컬 제작 플랫폼 기술 개발 | |
▷ 기존 뮤지컬을 온·오프라인 공간에서 다중 극 진행과 스토리 연출이 가능하도록 확장하여 실시간 모션 캡처와 배우 아바타 등을 통해 관객과 함께 호흡하며 즐길 수 있는 이머시브 뮤지컬 공연 플랫폼을 개발 | ||
33 | 생성형 AI를 활용한 전통예술 고품질 미디어아트 제작 및 서비스 플랫폼 기술 개발 | |
▷ 고품질 K-미디어아트 콘텐츠 서비스, 미디어 파사드 송출용 콘텐츠 생성 및 가공 서비스, 신규 일러스트 작가 대상 미디어아트 제작 플랫폼 서비스를 위해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한국의 전통예술 작품의 고유한 느낌을 살려 고해상도 미디어아트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고 서비스 할 수 있는 플랫폼 기술 개발 | ||
34 | 확산모델(Diffusion Model) 활용한 문화예술 창작 및 공유 플랫폼 기술 개발 | |
▷ 생성형 AI 모델을 적용하여 이미지, 비디오, 3D, 웹툰 등 다양한 포맷을 지원하는 콘텐츠 생성 모델을 개발하고 클라우드 기반 문화예술 창작 협업 서비스와 국내외 유통을 연계하는 공유 플랫폼 기술 개발 | ||
문화공간 및 공연장 안전 지원 기술개발 문화예술 |
35 | AI 기반 3D 실가상 공연 공간 연계 실시간 공연 현장 안전 모니터링 기술 개발 |
▷ 실공연장과 동일한 디지털 트윈 공연 공간을 구축하고 인공지능 기반 사전 안전사고 예측 및 방지 시스템을 개발하여 실시간 관객 밀집 해소, 승하강 장치의 추락 방지, 실시간 공연장 안전 예측/진단, 공연 공간 사전 분석 및 시뮬레이션 등을 통한 안전환경 구축 핵심기술 개발 | ||
36 | 공연 시설 최적 안전 설계 및 IoT 기반 실시간 관리 및 고장 진단 기술 개발 | |
▷ 공연무대의 안전을 위해서 IoT 기반 실시간 안전 관리 및 고장 진단 시스템을 구현하고, 공연시설·무대장치·가설무대의 최적 안전 설계를 위한 핵심 기술 개발 | ||
37 | 공연 무대 및 관객의 안전을 위한 공연 시설 최적 모듈 개발 | |
▷ 지속가능한 공연 안전 문화, 안전한 공연무대 장치, 관객의 공연장 안전 확보를 위한 일회성 공연무대의 재사용성을 높이고 관객이 안전하게 공연 관람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설무대 모듈, 승강무대 및 관객 안전난간 시스템 기술 개발 | ||
38 | 공연안전 표준 기술 개발 및 글로벌 표준화 | |
▷ 공연장 및 공연 공간에서 상부하부특수효과 장치의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한국형 무대조명용 꽂음접속기 표준화 기술 개발 및 국제협력ㆍ공연 안전 표준 체계 확립을 통한 공연 실증 | ||
선도형 저작권 기술개발 저작권 |
39 | 멀티모달 생성 AI 학습을 위한 데이터세트 저작권 핵심 기술개발 |
▷ 멀티모달(소리, 이미지, 텍스트) 생성 AI에 학습에 필수적인 데이터세트의 불법적인 사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학습 데이터에 인공지능을 이용한 워터마킹 삽입 기술 개발과 워터마크가 삽입된 학습데이터로 학습된 생성 모델의 결과물에서 학습데이터를 추적(식별)할 수 있는 AI 모델 개발 | ||
40 | AI 생성 영상·음악콘텐츠의 신뢰성 검증 및 원본 저작물 탐지 기술개발 | |
▷ 영상 및 음악 저작물의 신뢰성 검증을 위해 AI 생성 여부를 판단하고 AI가 생성한 콘텐츠에 기여한 원본 저작물을 탐지하여 저작권료 분배가 가능한 저작권 기술 개발 | ||
41 | 3D 생성 AI 창작물 저작권 보호를 위한 뉴럴 워터마크 기술개발 | |
▷ 생성형 AI 모델로부터 창작된 3D 창작물(콘텐츠)의 저작권 보호를 위한 뉴럴 워터마킹 기술을 개발하고, 3D 콘텐츠의 활용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사람이 식별 불가능한 워터마킹 삽입 기술을 개발 | ||
42 | 생성형 AI 모델을 활용한 어문저작물의 유사도 비교 기술 개발 | |
▷ 언어, 구조, 콘텐츠를 분석할 수 있는 생성형 AI(ChatGPT 언어 등) 모델을 이용한 어문저작물 간 유사성 및 표절 여부 판단 기술 개발 | ||
43 | Web3.0 탈중앙화 환경에서 창작자간의 저작권 이용허락 거래 자동화 기술개발 | |
▷ 2차 창작을 위해 저작권 이용허락을 받고자 하는 콘텐츠에 대해, 각각의 저작권자가 원하는 협상 조건을 명시하고, 저작물 이용허락 계약을 자동화할 수 있는 탈중앙화 기반의 P2P 계약 자동화 기술 개발 (미술/출판 분야) | ||
44 | 창작자 콘텐츠 IP별 저작권 권리관계 표현 기술 개발 | |
▷ 복잡한 IP별 창작자의 권리관계를 파악하고 창작자 및 투자자에게 효율적 투자를 지원할 수 있는 콘텐츠 IP별 저작권 권리관계 표현 기술 개발 | ||
45 | 캐릭터 이미지 유사도 검증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캐릭터 저작권 검증 기술개발 | |
▷ 웹에서 판매 유통되는 캐릭터 IP를 활용한 콘텐츠 및 상품의 불법복제 여부를 검증하기 위하여 캐릭터 이미지의 소스 및 원본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캐릭터 IP 라이센스를 검증하고 신규 및 기존 캐릭터 등록 시 해당 콘텐츠 및 이미지의 유사도 검증을 통해 라이센스 충돌 및 양립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캐릭터 IP 라이센스 검증 기술 개발 | ||
46 | 디지털 출판물의 불법유통 추적을 위한 콘텐츠 포렌식 마킹 및 검출 시스템 개발 | |
▷ 출판물의 저작권 정보 검증 기술을 통하여, 저작자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출판물의 다중 보안 서비스 기술과 이를 활용하여 권리자에게 신뢰된 정산을 수행할 수 있는 저작권 응용기술 개발 | ||
글로벌 저작권 현안 신속 대응 저작권 |
47 | AI기반 불법 콘텐츠 저작권 침해 사이트 분석 기술개발 |
▷ AI 기반 국내외 불법콘텐츠 유통 사이트 분석 기술을 개발하고 K-콘텐츠의 선제적 저작권 침해 대응 체계 마련 | ||
48 | AI기반 저작권 특화 저작권 포렌식 증거수집 도구 기술개발 | |
▷ 사이버 공간에서 발생하는 콘텐츠 저작권 침해 범죄에 적시 대응하기 위한 사전(핑거 프린터, 포렌식 마킹 등)-사후(포렌식 수집, 분석)대응을 위한 디지털포렌식 기술개발 | ||
49 | 한류콘텐츠 저작권 보호를 위한 국제 공조수사 핵심기술 개발 | |
▷ 저작권 보호 기술 및 침해유형, 수사기법 등을 공유할 수 있는 “글로벌 콘텐츠 IP 국제공조수사 협력 플랫폼” 기술개발 | ||
관광서비스 혁신성장 연구개발 관광 |
50 | 실내외 관광지 재난 상황에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인공지능 기반 비가시 영역의 객체 확인 기술 개발 |
▷ 실내외 관광지(야외 캠핑장, 리조트, 복합 레포츠 공간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난 상황에서 가시거리 확보가 되지 않은 위급 상황 시 인명 피해 최소화를 위해 시야가 제한되는 영역의 실시간 영상 확보 기술을 통해 움직이는 물체의 존재와 대략적인 형태를 파악하여 관광객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 개발 | ||
51 | 생성형 AI를 활용한 중소 OTA지원 플랫폼 개발 | |
▷ 생성형 AI는 특정 시점 이전의 데이터만을 기반으로 학습하여 최신 데이터를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으므로 중소 OTA가 최신 데이터까지 활용하여 관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 기반의 open OTA 지원 기술 개발 | ||
종목별 경기력 향상 기술개발 스포츠 |
52 | 탁구경기력 향상을 위한 세계랭킹선수 경기력 모사 Al기반 코칭 로봇 기술개발 |
▷ 사전시뮬레이션기술 및 실체감 반복형 훈련을 위한 로봇·AI기반 코칭기술 개발 | ||
53 |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스포츠(Smart Sports) XR 체험훈련 플랫폼 기술개발 | |
▷ 영상, 동작데이터, 생체데이터 등 복합화한 콘텐츠를 활용하여 스포츠기술 관련 노하우 전달하는 스킬공유형 AI기술개발 | ||
54 | 스피드 스케이팅 엘리트 선수를 위한 AR 기반 훈련 프로그램 및 플랫폼 구축 | |
▷ 개인의 휴먼트윈(+분석/예측)을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판정, 훈련분석이 가능한 AR·AI기반의 훈련 및 판정(빙상종목) 기술 개발 | ||
55 | 테니스 경기력 향상 및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한 실시간 기술패턴 분석 및 INOUT 자동판정 솔루션 | |
▷ 영상분석기술 기반 실시간 기술패턴 데이터 분석기술 및 테니스형 라인 VAR 판정 기술 개발 | ||
56 | 스포츠 경기장의 멀티 콤플렉스 시설구축을 위한 콘텐츠 플랫폼 기술개발 | |
▷ 콘텐츠·커넥티드 기술 등을 접목, 시설의 특성과 멀티형의 활용성을 갖춘 기능성을 제공하는 시설 연계형 기술개발 | ||
57 | 장애인 스포츠 경험 접근성 개선 사업 | |
▷ AI등 활용성 제고 기술 등에 기반하여 장애인 스포츠 경험접근성을 개선하는 기술 개발 |
3. 의견 제출
4. 문의처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콘텐츠 | 문화체육관광기술진흥센터 오석희 PD | shoh@kocca.kr |
연구개발기술기획팀 이미현 대리 | leemi89@kocca.kr / 042-330-6627 | |
문화예술 | 문화체육관광기술진흥센터 김명하 PD | oscarkim@kocca.kr |
연구개발기술기획팀 이지은 주임 | eun@kocca.kr / 042-330-6630 | |
저작권 | 문화체육관광기술진흥센터 고병수 PD | bskoh@kocca.kr |
연구개발기술기획팀 배현주 대리 | hjbae@kocca.kr / 042-330-6626 | |
관광 | 문화체육관광기술진흥센터 고병수 PD | bskoh@kocca.kr |
연구개발기술기획팀 이미현 대리 | leemi89@kocca.kr / 042-330-6627 | |
스포츠 | 문화체육관광기술진흥센터 김현문 PD | osho@kocca.kr |
연구개발기술기획팀 조소혜 대리 | hopegirl@kocca.kr / 042-330-6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