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고 제2025-0437호]
□ 개요
□ 지원내용 * 세부 안내는 아래 붙임 참고
구분 | 파트너스 회사명 | 소개 | 선호분야 | 선호투자 |
---|---|---|---|---|
CVC | 쇼치쿠벤처스 | 일본 쇼치쿠 벤처 투자부분, E&M, 콘텐츠 기술, 및 글로벌협업 집중 | 영화, 연극, 공연, 전시, 게임 | 프로젝트 투자 지분투자 |
TBS INNOVATION Partners | 일본 TBS의 벤처 투자부문, E&M, 라이프스타일, 교육에 투자 | 콘텐츠 전 분야 | 지분투자 | |
VC | 글로벌브레인 | 일본에 본사를 둔 독립형 VC, 운용자산 약 2조원 규모로 일본 최대 VC 중 하나 | 만화, 웹툰, 플랫폼, 5G 융합기술(VR/AR, CG, VFX, 홀로그램) | 지분투자 |
플랫폼 | MTI Co., Ltd. | 일본 내 모바일 콘텐츠 사업부분 일인자로 엔터테인먼트, 음악, e-book등에 다양한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전 분야 | 프로젝트 투자 사업협업 |
그 외 방송 유통‧미디어사, 웹툰 플랫폼사 등 도쿄 행사 참가 확정 및 파트너사 활동 협의중 | 프로젝트 투자 사업협업 |
1. 투자유치 역량강화 | → | 2. IR 피칭 지원 | → | 3. 기타지원 |
---|---|---|---|---|
• OT, 기업 수요조사 • 1:1 현지 투자 컨설팅 • IR 컨설팅(피치덱 구성, 리디자인, 피칭스킬 등) • 기타 투자유치 컨설팅 등 |
• Pre-IR - Closed IR, 1:1 투자상담 및 네트워킹 • IR 데모데이 개최 및 1:1 투자상담회 - Open IR(데모데이), 콘텐츠 쇼케이스, 1:1 투자상담 및 네트워킹 |
• 바우처 지원 (1개사당 1,000만원) • 도쿄 및 오사카 항공비 왕복 1회(1개사당 1인) • 투자유치 후속상담, 네트워킹 지원 등 |
IP/프로젝트 투자 | 콘텐츠가치평가서비스 및 국내외 투자기관 연계 |
---|---|
기업투자 | 담임 투자기관 매칭 및 컨설팅을 통한 투자유치 고도화 |
□ 신청요건
□ 접수개요
제출파일 | 파일구성 | 비고 |
---|---|---|
1. 기업명_필수서류.zip | 01_참가신청서_기업명.hwp / 국문 및 일문 02_IR자료_기업명.pdf / 국문 및 일문 03_3개년간 재무제표.pdf / 국문 04_사업자등록증.pdf / 국문 05_법인등기부등본.pdf / 국문 |
해당 파일을 압축하여 제출 |
2. 기업명_추가 소개자료.zip | 06_콘텐츠 및 사업 소개자료 / 국문 및 일문 | 해당 파일을 압축하여 제출 |
□ 선정절차 및 평가기준
참가기업 모집 | → | 홍보자료 배포 | → | 선정평가 | → | 최종확정 및 결과통보 |
---|---|---|---|---|---|---|
4. 8. ∼ 4. 22. | 4월 2~3주 | 4.23.(예정) | 4월 4주 |
지표명 | 기준 | 세부내용 | 배점 |
---|---|---|---|
IP/프로젝트 경쟁력 (15) |
포트폴리오 가치 | • 보유 IP/프로젝트 의 독창성 및 차별성 • IP/프로젝트 권리 확보 현황(저작권, 상표권 등) |
5 |
콘텐츠 완성도 | • 퀄리티 및 제작 수준 • 기존 제작/유통 실적 |
5 | |
OSMU 확장성 | • 미디어믹스 가능성(영상, 게임, 굿즈 등) • 글로벌시장 적용 유연성 및 라이선싱 사업 가능성 |
10 | |
시장 잠재력 (25) |
목표 시장 분석 | • 타겟 시장 규모 및 성장성, 현지 경쟁사 분석 • 소비자 선호도 파악 |
10 |
BM 구체성 | • 수익 모델 명확성 및 실현 가능성 •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 전략 |
10 | |
현지화 전략 | • 현지 시장 특성 반영 정도 • 현지 규제 및 문화적/기술적 장벽 해소 전략 |
5 | |
실행역량 (25) |
핵심인력 전문성 | • 콘텐츠 제작 및 유통 경험 • 현지어 커뮤니케이션 가능 인력 |
5 |
파트너쉽 구축 역량 | • 국내외 유통/미디어 파트너십 • 콘텐츠 공동 제작 역량 |
10 | |
실행계획 구체성 | • IP 로드맵 및 마일스톤 명확성 • 목표 달성을 위한 액션 플랜 및 리스크 관리 방안 |
10 | |
투자매력도 (15) |
예상 매출액 | • 국내외 매출/영업이익 실적 및 전망 • 부가사업 매출/영업이익 전망 |
10 |
투자유치 이력 및 준비도 | • 국내외 기존 투자유치 실적 및 투자유치 계획 • IR자료 준비 및 역량 |
5 | |
글로벌역량 (5) |
일본진출 준비도 | • 일본 진출 사업 경험 횟수 및 성과 • 일본지사 또는 현지어 능숙 참여인력 보유 • 대표(혹은 일본 사업 담당자)의 참여 여부 및 성실도 |
5 |
바우처 활용 (10) |
바우처 활용 준비도 | • 바우처 신청내용 일본 투자유치 필요성 • 신청내용의 명확성, 타당성, 구체성 • 바우처 활용을 통한 현지진출, 투자 등 실질성과 정도 |
10 |
가점 (5) |
콘진원 사업 선정 또는 수상 기업 (1분야 해당도 반영) |
• 2025년 콘텐츠분야 <혁신 프리미어 1,000> 선정기업 | 5 |
• 2022~2024년 KNOCK 정규라운드 데모데이 수상기업 | |||
• 2022~2024년 스타트업콘 배틀필드 수상기업 | |||
합계 | 105 |
지표명 | 기준 | 세부내용 | 배점 |
---|---|---|---|
비즈니스 혁신성 (15) |
비즈니스 독창성 및 차별성 | • 핵심 콘텐츠/기술/서비스의 혁신성 및 독자성 • 경쟁사 대비 우위점 |
5 |
비즈니스 완성도 및 검증 | • 콘텐츠/기술/서비스 개발 단계(PoC, 베타, 상용화) • 핵심 기능 구현 및 안정성 검증 결과 |
5 | |
확장성 및 적용범위 | • 다양한 콘텐츠/플랫폼/상품으로의 확장 가능성 • 글보벌 시장에서의 적용 사례 |
10 | |
시장 잠재력 (25) |
목표 시장 분석 | • 타겟 시장 규모 및 성장성, 현지 경쟁사 분석 • 시장 진입 전략 및 차별화 포인트 |
10 |
BM 구체성 | • 수익 모델 명확성 및 실현 가능성 • 초기고객 확보 및 확보 전략 |
10 | |
현지화 전략 | • 현지 시장 특성 반영 정도 • 현지 규제 및 문화적/기술적 장벽 해소 전략 |
5 | |
실행역량 (25) |
핵심인력 전문성 | • 관련 비즈니스 분야 경험(제작, 개발, 상용화 등) • 현지어 커뮤니케이션 가능 인력 |
5 |
자원확보 및 활용 | • 개발/디자인/마케팅 등 자원 확보 현황 • 외부 자원 활용 효율성 |
10 | |
실행계획 구체성 | • 비즈니스 로드맵 및 마일스톤 명확성 • 목표 달성을 위한 액션 플랜 및 리스크 관리 방안 |
10 | |
투자매력도 (15) |
예상 매출액 | • 국내외 매출/영업이익 실적 및 전망 • 부가사업 매출/영업이익 전망 |
10 |
투자유치 이력 및 준비도 | • 국내외 기존 투자유치 실적 및 투자유치 계획 • IR자료 준비 및 역량 |
5 | |
글로벌역량 (5) |
일본진출 준비도 | • 일본 진출 사업 경험 횟수 및 성과 • 일본지사 또는 현지어 능숙 참여인력 보유 • 대표(혹은 일본 사업 담당자)의 참여 여부 및 성실도 |
5 |
바우처 활용 (10) |
바우처 활용 준비도 | • 바우처 신청내용 일본 투자유치 필요성 • 신청내용의 명확성, 타당성, 구체성 • 바우처 활용을 통한 현지진출, 투자 등 실질성과 정도 |
10 |
가점 (5) |
콘진원 사업 선정 또는 수상 기업 (1분야 해당도 반영) |
•2025년 콘텐츠분야<혁신 프리미어1,000> 선정기업 | 5 |
•2022~2024년KNOCK 정규라운드 데모데이 수상기업 | |||
•2022~2024년 스타트업콘 배틀필드 수상기업 | |||
합계 | 105 |
□ 문의처
□ 기타사항